일본 무도계에는 '우치데시(內弟子, 내제자)'라고 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도장에서 먹고 자고 하면서(경우에 따라서는 출퇴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지도자가 되기 위한 집중적인 수련을 쌓는 사람들이죠.우리나라에서도 요즘은 찾아보기가 좀 어려워졌습니다만, (간간이 보이긴 하더군요) 젊은 유단자들이 도장에서 숙식하며 도장 살림이나 지도를 맡아하다가 나중에 도장을 물려받거나 독립하는 경우가 꽤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소위 '새끼사범'으로 불리던 그런 경우와는 달리, 왠지 일본의 내제자라고 하면 엄청나게 고된 훈련과 승승으로부터의 특별한 커리큘럼 등을 통해 일반 수련생보다 훨씬 더 강해질 수 있는 어떤 비법을 전수받은 사람이 그려지곤 합니다. 예컨대 영화나 만화 속에서 흔히 등장하는 '4대제자' 같은 이미지랄까요.
극진관 총본부에서 7년 간 내제자 생활을 마치고 최근 송파에 극진가라테 도장을 낸 황승현 사범. 그도 처음 내제자 생활을 시작했을 때는 그런 꿈에 부풀어 있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내제자가 되면 남들보다 더 강하고 다양한 쿠미테(대련) 기술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3년 후에는 엄청나게 강해져서 한국에 돌아올 수 있을 거라고. (웃음) 하지만 현실은 전혀 달랐어요."
황승현 사범이 내제자가 되기 위해 일본으로 향했던 것은 2001년 겨울. 당시에는 아직 극진관으로 갈라지기 전, 그러니까 로야마 하츠오 (한국명 노초웅, 황승현 사범의 호칭에 맞춰 이하 노초웅으로 표기) 현 극진관 관장이 극진회관 최고사범이며 사이타마 지부를 맡고 있던 시절이었습니다.
"사실 내제자가 되기까지도 우여곡절이 좀 있었습니다. 원래는 내제자를 받지 않는 도장이었는데, 노초웅 관장님의 배려로 내제자 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죠. 그런데 막상 내제자가 되고 보니 생각했던 것과는 너무 다른 생활이 펼쳐지더군요. 특히 노초웅 관장님의 도장은 특성 상 행정 업무가 많고 취재라든지 여러가지 형태의 손님이 찾아오는 일도 잦은데다 주관하는 행사도 많았습니다. 그런 도장 살림의 잡무나 행사 준비, 손님맞이는 모두 내제자들의 몫이거든요. 특히 행사 때문에 사람들이 모이면 선배 극진인들에게 반드시 먼저 찾아가서 일일이 인사를 해야 하는데, 어떤 때는 30분 내내 '오스!'만 외치고 다닌 적도 있었습니다. (웃음)"
하루종일 운동만 할 줄 알았던 예상과는 달리, 오히려 잡무에 쫓겨다니느라 운동할 시간이 없을 정도였던 내제자 생활의 실체에 당연히 후회가 몰려왔을 겁니다.
"내제자가 되면 정규 수련 시간에는 무조건 참가를 해야 하지만, 그 외에는 따로 운동할 시간도 없고 특별히 배운 것도 없었습니다. 더구나 노초웅 관장님은 기본기를 굉장히 강조하는 지도 스타일을 가지고 계십니다. 실제로 도장에서도 대련 테크닉은 거의 가르치지 않아요. 언제나 기본수련과 이동수련, 카타(형, 품새) 수련 뿐이고, 주말에는 공원에서 의권(태기권)의 참장 수련을 하는 정도였죠. 그런데도 막상 대회가 있으면 참가를 해야 하니, 대련 테크닉은 선배들에게 한번씩 귀동냥을 하거나, 개인적으로 연구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더구나 낯선 일본 생활도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딱히 한국에서 왔다고 해서 노초웅 관장으로부터 특별 대우를 받지도 못했습니다.
"한달 쯤 되니까 저보고 지도를 하라고 하시더군요. 아직 말도 잘 안 통하고 뭐 딱히 배운 것도 없는데 참 난감했습니다. 그야말로 좌충우돌이었죠. 초반에는 몇몇 선배들의 텃세랄까, 괴롭힘도 있었고. 솔직히 그냥 한국에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노초웅 관장님께 조언을 구하고 싶어도 얘기를 나눌 기회 자체가 별로 없었습니다. 워낙 바쁘신 분이고, 또 제 입장에서도 대하기 어려운 게 있었으니까요. 처음 일본 도장에 갔을 때도 그냥 제 얼굴을 한 번 보시고는 "열심히 해라"라고만 하셨죠. 가끔 제가 일하고 있을 때 지나치시다가 힘드냐고 물어보시기도 했는데, 그 때도 그냥 농담처럼 '세상에 공짜가 어딨겠냐'고 한 마디 툭 던지고 가셨어요. (웃음)"
그런데 어째서 황승현 사범은 이처럼 실망과 고생 뿐이었던 내제자 생활을 7년이나 하게 된 것일까요.
"내제자가 된 지 2년 쯤 됐을 때였습니다. 이제 1년만 더 있으면 한국으로 돌아간다는 생각을 하고 보니까, '내가 과연 뭘 배웠나, 이대로 돌아가면 무엇을 가르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 내제자가 되고자 했을 때 상상했던 2년 후의 내 모습과 실제 제 모습은 너무 달랐으니까요. 그런데 그게 실망감이랄까 후회하고는 좀 달랐습니다. 뭔가 감이 오기 시작했달까. 배운 게 없긴 한데, 배울 게 없어서 못 배운 게 아니라 너무 큰 무엇이라서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대로는 안 되겠다, 좀 더 배우자, 라고 생각했습니다."
황승현 사범이 감을 잡기 시작한 부분은 바로 '기본기의 중요성'이었습니다. 앞서 황승현 사범의 얘기에서도 나왔지만, 노초웅 관장의 지도 스타일은 기본기를 중시하고 무도적인 관점에서의 기술 수련과 신체 단련의 비중이 높은 반면, 경기 대련 기술은 거의 가르치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한 때 그런 지도 스타일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선도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급할 수록 돌아간다는 말도 있듯이 오랜 시간을 투자한 기본기 수련의 깊이는 서서히 몸에 배면서 그 진가를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황승현 사범 또한 그것을 느끼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감각이 열리고 시야가 넓어지기 시작하면 다른 수련을 받아들이는 데에도 여유가 생깁니다.
쿠라모토 나리하루 사범은 켄도카이(拳道會, 권도회) 나카무라 히데오(한국명 강창수) 총사의 수제자로 극한에 가까운 신체 단련을 통해 토관 수도 격파 등을 해냈으며 수많은 실전 경험을 가진 실전공수/무도공수가로 잘 알려진 인물입니다. 현재는 쿠라모토주쿠(倉本塾, 창본숙)의 대표로 접골원과 도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는데, 가라테 수련생은 물론이고 프로격투가들 중에서도 쿠라모토 사범의 실전지향적인 가르침을 받기 위해 도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제5대 DEEP 라이트급 챔피언이자 드림에서 안드레 디다를 '미카츠키게리'로 쓰러뜨린 키쿠노 카츠노리도 최근 쿠라모토 사범의 가르침을 받고 있습니다.)
"노초웅 관장님 역시 나카무라 총사를 사사한 바 있어, 두 분은 동문이자 의형제로서 현재도 교류를 해오고 있습니다. 제가 쿠라모토 사범님께도 배우고 싶다고 했을 때도, '강한 분이니까 많이 배우고 오라'고 흔쾌히 허락해주셨어요. 놀라운 것은 쿠라모토 사범 역시 주성춘이라는 한국 이름을 가진 재일교포이시더군요. 이 분 역시 어떤 테크닉에 치중한 지도를 하는 분은 아닙니다. 가라테를 하시지만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가라테 스타일을 전하는 것도 아니고요. 처음 오는 사람은 그냥 자기 스타일의 정권지르기, 복싱이라면 스트레이트를 몇천번 씩 반복시킵니다. 그런데 그게 그냥 회수를 채우는 게 아니라 한 번 한 번을 있는 힘껏 치라고 하죠. 노초웅 관장님과 다른 점이라면 웨이트 트레이닝을 매우 좋아하시고 또 강조하신다는 점일까요."
"내제자가 되어서 얻은 가장 큰 수확, 내제자만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깨침은 스승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노초웅 관장님처럼 극진관이라는 하나의 유파를 창시한 분의 내제자가 돼서 그 분의 생각, 극진관이 추구하는 방향, 수련 하나하나의 의미를 전수받을 수 있었던 것이야말로 다른 어떤 대련 기술보다도 소중한 재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극진관 총본부에서 내제자 생활을 시작한 한국인 후배들이 있는데, 그 친구들에게도 그런 부분을 많이 얘기해주고 싶습니다."
물론 모든 내제자 생활이 황승현 사범과 같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노초웅 관장과 쿠라모토 사범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도자도 각자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다른 도장에 갔더라면 황승현 사범이 처음 원했던 대로 강하고 다양한 대련 기술을 잔뜩 배울 수 있었을 지도 모릅니다. 황승현 사범이 이렇게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본인이 깨달은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이 있었던 곳이 총본부 도장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일본에서는 기술이 다양하고, 대련에 강한 곳은 다른 지부라 하더라도, 그 유파가 추구하는 방향성이나 원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은 언제나 소위 종가라고 하는 곳들입니다. 기본이 되고 중심이 되는 곳이 확실히 존재하기 때문에, 오히려 다른 사람들은 변형이나 응용과 같은 실험이나 시도가 가능한 것인지도 모르죠. 실패하거나 변하거나 잃은 것이 있을 때 언제든 원점으로 돌아올 수 있으니까요. 또 그렇기 때문에 설령 종가의 실력이 좀 부족하다 싶어도 종가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일본 무도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만난 선후배들이나 제자들은 많이 말렸습니다. 사실 저도 많이 망설였고요. 오랜 기간 동안 정도 들었고, 일본과는 다른 한국에서의 수련 환경이나 문화를 잘 알기 때문에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배운 것을 그저 가지고만 있어서는 안되겠더라고요. 한국에 돌아가서 제가 배운 것을 전하고 싶다, 그것이 많은 선배님들의 배려 속에 내제자 생활을 할 수 있었던 제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이런 생각으로 한국에 돌아가겠다고 말씀드리자 노초웅 관장님도 '나도 그렇고 최영의 총재님의 고국도 한국이다. 어찌 보면 극진가라테의 고향은 한국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막상 한국은 극진의 불모지나 같은 상황인 것이 늘 마음에 걸렸다. 앞으로 나도 한국에 신경 많이 쓸테니 열심히 해봐.'라고 말씀하시며 격려해주셨습니다."
스스로 성장하고 새로운 길에 도전하는 제자에 대한 스승의 신뢰와 애정 또한 깊어진 것일까요. 올해 초 자기 도장을 열 준비를 하는 황승현 사범에게 노초웅 관장은 잊을 수 없는 값진 선물을 해줍니다. 바로 자신이 입던 도복과 띠를 물려준 것이죠.
"정말 귀한 선물을 받았습니다. 차마 제가 입거나 띠를 매지는 못하고 고이 모셔놓고만 있어요. (웃음) 처음에는 말씀도 별로 없으시고 참 어려운 분이었습니다. 하지만 돌이켜 생각해 보면 처음 내제자로 받아주신 것부터 시작해서, 알게 모르게 참 많은 배려를 받았습니다. 무뚝뚝하지만 속정 깊은 아버지 같은 분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사실 저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작게는 도장 안에서 어떻게 가르쳐야 하고 어떻게 운영을 해야 할 지, 그리고 크게는 한국 극진을 위해서 제가 배운 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 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해보려고 합니다. 신태균 한국본부장님을 비롯해 극진관의 많은 선배 사범님들, 그리고 후배 극진인들과 언제나 소통하면서, 제가 가진 것을 최대한 공유하고 싶습니다."
'流雲의 Point of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성훈, 연말 미사키와 재대결? (타니가와P 발등에 불 떨어지셨군요) (8) | 2009.12.12 |
---|---|
[필살기열전 02] 몸 따로 마음 따로, 마법 같은 몸통KO의 비밀 (9) | 2009.12.06 |
[필살기열전 01] 사람 돌게 만드는 택견의 '딴죽' (17) | 2009.09.04 |
FMC 파행 관계자들의 엇갈린 주장, 그 진실은? (2) (14) | 2009.08.25 |
FMC 파행 관계자들의 엇갈린 주장, 그 진실은? (1) (3) | 200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