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트라이크 포스의 56번째 이벤트이자 39번째 넘버링 이벤트 스트라이크포스 39가 개최지인 미국 오하이오주 콜롬비아 현지 시각으로 3일, 한국시각으로 4일 개최됐습니다.

이 날의 메인이벤트였던 여자 밴텀급 타이틀 전에서는 도전자 론다 로우지가 들어오는 챔프 미샤 테이트를 테이크다운으로 연결, 한 차례 암 바를 성공 직전 실패 한 후, 유도식 허리넘기기에 이어 재차 암 바를 시도, 탭을 거부하는 테이트의 팔을 골절시키고 경기가 중지 新여왕이 되었습니다.
 
전 엘리트XC 챔프 칼 제임스 눈즈와 15개월만에 복귀한 전 스트라이크 포스 챔피언 조슈아 조셉 톰슨 간의 차기 타이틀 도전자 결정전에서는 복싱을 바탕으로 스트라이크에서 확실히 앞서 나가던 눈즈를 톰슨이 때마다 태클을 성공, 때때로 서브미션까지 시도한 톰슨이 판정으로 승리, 도전권을 확보했습니다.   

                                  [StrikeForce 39의 오피셜 포스터 ⓒZuffa LLC] 

'셈택스' 폴 데일리와 30여 개월만의 스트라이크 포스 복귀 전이자 웰터급 데뷔 전에 나선 일본의 간판파이터 미사키 카즈오는 몇 차례 테이크다운과 그라운드에서의 엘보 허용으로 인해 컷이 나긴 했으나 편안하고도 빠른 타격과 유도식 그래플링으로 데일리를 압도, 스플릿 판정승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대단한 펀치력으로 타격 역전승을 만들어 왔던 '스톤핸즈' 스캇 스미스를 상대로 단체 첫 승 사냥에 나선 1라운드 승리 전문가 루뭄바 세이어스는 프로레슬링에서 볼만한 버티컬 스플렉스를 성공시킨 후 사이드 길로틴 초크로 대항하는 상대를 길로틴 초크로 제압, 또 한번의 1라운드 승리를 챙겼습니다.      

SCC 챔프 브리스톨 마룬데를 상대로 복귀 전에 나선 전 미들급 챔프 호나우도 '자카레' 사우자는 정평이 난 그라운드 게임은 물론 타격서도 오버 언더 훅과 돌려차기를 피로하는 일방적인 경기 중 백마운트를 잡은 뒤, 돌아누으려던 상대에게 암 트라이앵글 초크를 성공시켰습니다. 

전 스트라이크 포스 밴텀급 여자 챔프 사라 카우프만과 카우프만 바로 밑의 랭커 알렉시스 데이비스 간의 캐나다 여성 파이터 간의 대결에서는 타격으로 인한 컷을 주고 받거나 그라운드에서 리버스가 반복되는 접전 끝에 타격에서 약간의 우세를 인정받은 카우프만이 판정승을 거뒀습니다.   

조지 거젤의 제자 브랜던 세일링과 마주한 챌린저스의 스타 로저 보울링은 비교적 그래플링이 약한 세일링에게 초반부터 크루시픽스 포지션과 풀마운트 등을 빼앗는 한 수 위의 그라운드 게임을 벌이다가 또 한번의 단단한 크루시 픽스 포지션에서의 방어불능 파운딩으로 심판의 경기 중지를 이끌어냈습니다.

라이트급으로 전향한 뒤 맹활약 중인 전 MFC 웰터급 챔프 패트릭 힐리는 5연승을 달리고 있는 맷 흄의 제자 카로스 포돌과 팽팽한 접전을 벌이다, 3라운드 상대의 힐 훅 시도로 인해 무산된 암 트라이앵글 초크를 재시도 후 성공, 포돌에게 2년만에 패배를 맛보여 줬습니다.  

'레전드' 커투어의 아들 라이언은 2009년 스트라이크포스 베스트바웃의 주인공이자 14전을 치러낸 그래플러 코너 휸을 상대로 백을 지속적으로 빼앗는 압도적인 그래플링 능력을 보여준 끝에 백 마운트에서 발을 집어넣은 뒤, 파운딩으로 프로 데뷔 후 첫 TKO 승리를 기록했습니다.   

[StrikeForce 39 'Tate vs Rousey' 결과]

09경기: 미샤 테이트 < 린다 로우지 (암 바 1R 4:27) * 여자 밴텀급 타이틀 전
08경기: 칼 제임스 '케이제이' 눈즈 < 조쉬 탐슨 (판정 3-0)
07
경기: 폴 데일리 < 미사키 카즈오 (판정 2-1)
05경기: 스캇 스미스 < 루뭄바 세이어스 (길로틴 초크 1R 1:34)
05경기: 호나우도 '자카레' 사우자 > 브리스톨 마룬디 (암트라이앵글 초크 2R 2:43)
04경기: 사라 카우프만 > 알렉시스 데이비스 (판정 2-0)
03경기: 로저 보울링 > 브랜던 세일링 (TKO 1R 1:15)
02
경기: 카로스 포돌 < 팻 힐리 (암트라이앵글 초크 3R 3:35)
01경기: 라이언 커투어 > 코너 휸 (TKO 3R 3:25)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북미에서 시작해 현재 최대의 메이저 종합격투기 이벤트로 성장한 UFC의 200번째 이벤트 UFC on FX 2 'Alves vs Kampmann'이 개최지인 호주 시드니 현지와 한국 현지 시각으로 3일 개최됐습니다.

메인이벤트에서 ATT의 티아고 알베즈와 격돌한 중견 마틴 캄프만은 1라운드 깔끔한 프런트 킥에도 불구 이후 알베즈에게 타격과 그라운드서 모두 밀리며 고전했으나, 3라운드 후반 타격러쉬 후 들어오는 상대의 태클을 역이용, 탑마운트에서 길로틴 초크와 넥 크랭크의 복합 관절기로 역전승을 거뒀습니다.    

UFC 최초의 플라이급 경기이자 동체급 챔프 결정전을 위한 4인 토너먼트 1차전에서는 마지막 3라운드에서는 백마운트에서의 파운딩 연타 등 압도당했으나 앞선 두 라운드에서 근소한 점수차를 만들어낸 데미트리우스 존슨이 이언 맥콜을 스플릿 판정으로 꺾고 결승에 선착했습니다.  

                                           [UFC on FX 2의 공식포스터 ⓒZuffa LLC]

페이버의 팀 메이트 조셉 베네비데즈는 1라운드부터 리어 네이키드 초크 등으로 슈토 밴텀급 챔프 우르시타니 야스히로를 압도하다가 2라운드 시작 직후 상대가 날린 킥을 커버로 튕겨나고 곧바로 레프트 훅으로 상대를 그라운드로 끌어들인 뒤, 파운딩으로 정리, 존슨과의 타이틀 전을 확정했습니다.

양 동이의 대전 상대였던 TUF 시즌 11 우승자 코트 맥기는 그리스 키프로스 출신으로 지난 자레드 함만 전에서 놀라운 펀치스킬을 보여줬던 콘스탄티누스 필리푸의 스탭을 살린 복싱 테크닉에 공격거리를 확보하는데 실패, 심판 전원일치 판정으로 패했습니다.

4번째 UFC 경기에 나선 호주단체 CFC의 챔프 제임스 테후나는 헤비와 라이트헤비를 번갈아 활동 중인 21전의 중견 애런 로사를 클린치 후 물러나면서 날린 클린 훅 히트로 찬스를 포착, 한 차례 떨어졌다가 훅을 위주로 한 펀치 컴비네이션과 파운딩 연타로 압도적인 TKO승리를 챙겼습니다.

이름 없는 실력자로 이름난 신예 닉 팬너와 격돌한 호주 레전드 앤터니 페리쉬는 펀치로 상대의 안면에 컷을 만들어 팬너를 초조하게 만든 뒤, 몇 차례의 태클을 성공시키는 우세를 이어나가다 탑마운트를 차지, 암트라이앵글 초크 실패 후 파운딩으로 종료 1초전 심판으로부터 경기 종료 선언을 받아냈습니다.

샤크 파이트 전 챔프 티제이 월버거는 돌진하려던 4연승 중이던 제이크 헥트에게 먼저 카운터 테이크다운을 성공, 상대의 터틀 포지션 위에서 암 바를 시도, 회전하며 탈출을 시도하려던 헥트의 팔을 잡고 같이 돌아주며 기술을 굳히고 암 바를 만들어내며 55초만에 승리를 챙겼습니다.     

뛰어난 펀치력을 가진 맥켄 세머자이어와 격돌한 6연승 행진 중의 대니얼 피네다는 중장거리 스트레이트로 세머자이어의 타격거리를 일찌감치 봉쇄, 왼쪽 훅으로 주저 앉힌 뒤, 상위 탑포지션에서 트라이앵글을 건 후, 추가 암바로 탭을 받아내는 뛰어난 결정력을 선보였습니다.  

영국 스트롱기스트 맨 챔프로 파워형 파이터 올리 톰슨과 격돌한 명 트레이너 그렉 잭슨의 제자 션 존슨은 스탠딩 타격으로 톰슨을 압박하며 어퍼컷 클린 히트로 승기를 잡은 뒤, 그래도 포기하지 않는 상대에게 다시 어퍼컷과 복부에의 니 킥을 추가, 뒤 이은 파운딩으로 경기를 끝냈습니다.  

[UFC on FX 2 'Alves vs Kampmann' 결과]

<초대 플라이급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매치>
10경기: 조셉 베네비데즈 > 우르시타니 야스히로 (TKO 2R 0:11) * 준결승
09경기: 데미트리우스 존슨 > 이언 맥콜 (판정 2-1) * 준결승

<원 매치>
11경기: 티아고 알베스 < 마틴 캄프만 (길로틴 초크+넥 크랭크 3R 4:12)
08경기: 코트 맥기 < 콘스탄티누스 필리푸 (판정 3-0)
07경기
: 제임스 테 후나 > 애런 로사 (TKO 1R 2:08)

06
경기: 앤터니 페리쉬 > 닉 팬너 (TKO 1R 4:59)
05경기: 콜 밀러 < 스티븐 사일러 (판정 3-0)
04
경기: 카일 노크 < 앤드류 크레이그 (판정 3-0)
03경기: 앤터니 '티제이' 월버거 > 제이크 헥트 (암 바 1R 0:55)
02경기: 멕켄스 세머자이어 < 대니얼 피네다 (트라이앵글 초크+암 바 1R 2:05)
01
경기: 올리 톰슨 < 션 조단 (TKO 2R 0:22)

반응형
Posted by giIpo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