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던 원조 수퍼코리언 데니스 강이 부진 탈출에 실패했습니다.

올해 1월 단발 펀치로 KO시키며 연패 사슬을 끊었던 데니스는 31일 일본 사이타마에서 열린 드림과 글로리의 합동 이벤트 DREAM 18 & GLORY 4 '大晦日 Special 2012'에 출전, 네덜란드 슬러거 멜빈 마누프와의 일전에 나섰습니다.  

마누프와 서로 원거리에서 잽 등 가벼운 타격을 교환하며 타격 거리를 재던 데니스는 펀치를 교차한 후 전진하며 마누프를 압박하려 했으나 마누프의 니 킥을 바디에 직격당한 후 주저 앉아 전투불능, 속절없이 파운딩 세례를 당하다 레프리 세리자와 겐이치의 손에 경기시작 50초 만에 구해졌습니다.

[데니스 강을 공격하는 마누프를 레프리들이 말리고 있다 ⓒDREAM&GLORY]

UFC 퇴단 후 재차 상급 단체 복귀를 꾀했던 데니스 강은 국내 무대에서도 비교적 약체로 평가되던 선수들과의 경기에서도 연패를 거듭하다 올해 1월, 이 은수를 토너먼트에서 제압한 손 혜석을 훅 단발로 KO시키며 재평가의 발판을 만들었으나 이번 참패로 인해 메이저 복귀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무츠키를 니 킥으로 몰아붙이는 김 성재 ⓒDREAM&GLORY]




                      [긴 리치를 활용해 기타를 압박하는 쉴트 ⓒDREAM&GLORY]

GLORY의 헤비급 그랜드 슬램 16강 원데이 토너먼트에서는 구칸 사키를 판정으로 꺾은 세미 쉴트와 리버를 향한 미들킥 단발 KO로 결승에 오른 다니엘 기타가 K-1 Seoul에 이어 재격돌, 쉴트가 가드 째로 레프트 하이킥으로 기타의 두부를 가격, KO시키고 글로리 헤비급 챔피언에 자리에 등극했습니다.

              [카와지리의 압박에 하체 관절기로 대항 중인 오미가와 ⓒDREAM&GLORY]

뛰어난 레슬링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그라운드 압박력을 가지고 있는 베테랑 카와지리 타츠야는 유도 베이스의 올라운더 오미가와 미치히로를 일찌감치 그라운드로 끌어들여 파운딩과 암 트라이앵글 초크 시도 등으로 압박, 경기 시간의 대부분을 공격에 집중하는데 성공해 무난한 심판 전원일치 판정으로 승리를 추가했습니다.

                  [다카야를 트라이앵글 초크로 공격 중인 카라카냔 ⓒDREAM&GLORY]

미국의 중견단체 TPF의 페더급 챔프 조지 카라카냔과 드림 페더급 현 타이틀 홀더 히로유키 다카야의 일전에서는 다카야가 펀치 컴비네이션으로 카라카냔을 잠시 몰아붙이기도 했지만 타격과 레슬링, 특히 그래플링에서 한 수위의 앞선 경기를 펼친 카라카냔이 2-1로 판정승을 거뒀습니다. 판정이 카라카냔에게 박했던 일전.

               [신야의 펀치에 눈을 맞고 로프 밖으로 피하려는 맥기 ⓒDREAM&GLORY]

35전의 베테랑이자 원타임 UFC 리거 안토니오 맥기를 상대로 정확히 1년만에 일본에 복귀한 유술 스페셜리스트 아오키 신야는 1라운드 자신의 관절기를 풀어내는 맥기 때문에 제법 애를 먹어야 했으나, 2라운드 자신의 라이트 훅에 왼 눈을 얻어맞은 맥기가 경기를 포기한 덕에 어부지리로 1승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마에다에게 카운터 초크를 시도 중인 헤르난데스 ⓒDREAM&GLORY]

드림의 페더급과 밴텀급의 벨트를 모두 거친 현 밴텀급 왕자 비비아노 헤르난데스는 김 종만과도 대진 경험이 있는 판크라스 출신의 베테랑 마에다 요시히로에게 태클 후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시도하다 살짝 풀어줘 돌아보길 유도한 후 돌아보는 것을 곧바로 카운터성 트라이앵글 그립을 잠그는데 성공, 승부를 결정지었습니다. 

                          [바로니와 근접전을 벌이는 사쿠라이 ⓒDREAM&GLORY]

대부분의 다른 드림 파이터들과 마찬가지로 정확히 365일 만에 경기를 가진 일본의 중경량급 간판스타 사쿠라이 '마하' 하야토는 올해 8월 ONE FC에서 간만의 승리를 맛봤던 필 바로니를 상대로 난전을 벌였으나 그 와중에서도 니 킥의 정확성과 상위 포지션에서의 공격 빈도의 우위에 힘입어 심판전원일치 판정승을 챙겼습니다. 

                      [막슬로우의 팔을 암 바로 잡아채는 쿠넨 ⓒDREAM&GLORY]

스트라이크 포스 여자 밴텀급 챔프 마를로스 쿠넨은 호주의 주지떼로 피오나 막슬로우를 차분한 원투와 니 킥으로 그라운드로 끌고 들어간 후 트라이앵글 그립을 잡은 후 회전 해 달아나려던 막슬로우의 팔을 암 바로 잡아내는 데 성공, 결국 탭을 받아냈습니다. 

                     [브룩스의 백 파운딩에 힘 겨워하는 사토루 ⓒDREAM&GLORY]

센고쿠에서 고미를 꺾었던 SRC급 라이트급 챔프 키타오카 사토루는 7전의 레슬러 윌 브룩스에게 저먼 스플렉스를 당하는 등 파워에서 큰 차이가 나면서도 관절기를 노리며 분발했으나 브룩스의 타격에 코를 당해 대량 출혈을 일으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다 백에서의 파운딩으로 패하고 말았습니다.

                    [코이치를 KO시키고 승리를 기뻐하는 르 벤너 ⓒDREAM&GLORY]

일본 헤비급의 기대주이자 니콜라스 페타스의 제자 코이치 페타스와 격돌한 무관의 제왕 제롬 르 벤너는 카운터 킥으로 페타스를 슬립다운 시킨 직후 일어선 상대의 안면에 카운터 오버 언더 라이트 훅을 적중, 전투 불능으로 만들어 버리고 KO승을 거두는 변함없는 저력을 과시했습니다.

                      [윌리스와 토시오가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 ⓒDREAM&GLORY]

잇츠쇼타임 재팬 95kg급 챔프, 신니혼 킥복싱, 미들과 헤비 챔피언 등 화려한 경력을 지닌 마츠모토 토시오를 상대로 일본 데뷔 전에 나선 제이슨 윌니스는 한판승을 거두지는 못했으나 후스트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컴비네이션을 앞세워 토시오를 포인트 면에서 앞선 탓에 판정승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루스마렌의 화력에 고전하는 지엔오츠 ⓒDREAM&GLORY]

54전의 베테랑이자 유도 백본의 탄탄한 유럽의 강호 로빈 반 루스마렌과 맞붙게 된 괴짜지만 실력파 나가시마 유이치로는 1라운드 어퍼 성 레프트 훅에 당해 초반 다운을 한 차례 빼앗긴 이래 화력싸움에서 크게 밀리며 고전, 결국 경기를 뒤집지 못하고 판정패하고 말았습니다.

[DREAM 18 & GLORY 4 ' 大晦日 Special 2012' 결과]

<DREAM>

08경기: 카와지리 타츠야 > 오미가와 미치히로 (판정 3-0
07경기: 타카야 히로유키 < 조지 카라카냔  (판정 2-1)
06경기
: 아오키 신야 > 안토니오 맥기 (TKO 2R 0:24)

05경기: 비비아노 헤르난데스 > 마에다 요시히로 (트라이앵글 초크 1R 1:46)
04경기: 멜빈 마누프 > 데니스 강 (TKO 1R 0:50)
03경기: 사쿠라이 '마하' 하야토 > 필 바로니 (판정 3-0)
02경기: 마를루스 쿠넨 > 피오나 막슬로우 (트라이앵글 초크 + 암 바 1R 3:29)
01
경기: 키타오카 사토루 < 윌 브룩스 (TKO 2R 3:46)

<GLORY Grand Slam 헤비급 16인 토너먼트 파이널>

27경기: 다니엘 기타 < 세미 쉴트 (TKO 1R) * 결승
24경기: 자말 벤 사딕 < 다니엘 기타 (TKO 1R) * 준결승
23경기: 구칸 사키 < 세미 쉴트 (판정) * 준결승

<GLORY Grand Slam 헤비급 16인 토너먼트 2회전>

21경기: 다니엘 기타 > 무라드 보우지디 (TKO 2R)
20경기: 자말 벤 사딕 > 레미 본야스키 (판정)
19경기: 안데우손 '브래덕' 실바 < 구칸 사키 (TKO 1R) 리핑 훅
18경기: 리코 버호벤 < 세미 쉴트 (판정)

<GLORY Grand Slam 헤비급 16인 토너먼트 1회전>

<GLORY 원매치>

26경기: 나가시마 '지엔오츠' 유이치로 < 로빈 반 루스마렌 (판정)
25경기: 에바타 무츠키 > 김 성재 (판정)
22경기: 마츠모토 토시오 < 제이슨 윌니스 (판정)
09경기: 제롬 르 벤너 < 와타나베 코이치 페타스 (KO 3R)

17경기: 다니엘 기타 > 조나타 데니즈 (판정 3-0
16경기: 피터 아츠 < 무라드 보우지디 (판정 2-1)
15경기: 에롤 짐머만 < 자말 벤 사딕 (판정)
14경기: 레미 본야스키 > 필립 베르린덴 (판정 3-0)
13경기: 안데우손 '브래덕' 실바 > 이고르 요르코비치 (TKO 1R)
12경기: 구칸 사키 > 라오마루 (TKO 1R)
11경기: 세르게이 하리토노프 < 리코 버호벤 (판정 3-0)
10경기: 세미 쉴트 > 브리스 기드온 (TKO 2R)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KO패로 타이틀을 잃고 절취부심했던 전 UFC 헤비급 챔프 케인 벨라스케즈가 적극적인 압박 작전으로 13개월만에 벨트 탈환에 성공했습니다.

미국 라스베가스 현지 시각으로 29일, 한국시각으로 30일 개최된 UFC 올해 마지막 대회 UFC 155 'Dos Santos vs Verasquez 2'에 출전한 벨라스케즈는 약 일 년전 이 맘때 자신에게 타이틀을 빼앗아갔던 챔프 주니어 도스 산토스의 헤비급 타이틀에 도전했습니다. 

벨라스케즈의 태클을 잘 피해내던 산토스가 밀리기 시작한 것은 1라운드 후반. 산토스의 잽을 가볍게 허용한 벨라스케즈는 오버핸드 라이트 정타를 히트, 상위 포지션을 잡고 계속 파운딩을 시도해 산토스를 TKO 직전까지 몰고 가지만 라운드 종료 혼이 산토스를 위기에서 구해냅니다.   

                                    [UFC 155의 공식 포스터 ⓒZuffa LLC]

2라운드부터는 타격 후 그라운드를 주된 공격으로 한 벨라스케즈의 압박이 이어집니다. 암 바를 시도하는 등 스테미너를 적잖이 소진한 벨라스케즈도 타격의 묵직함이 크게 줄어들지만, 벨라스케즈는 타격, 태클, 더티복싱 등으로 공세의 고삐를 풀어 산토스에게 여유를 주지 않습니다. 

경기 중반. 두 파이터 모두 클린 히트를 내어보지만 서로 큰 데미지를 입히긴 이미 무리인 상태. 벨라스케즈는 쉬지 않고 압박을 걸어 산토스의 타격 거리를 허용치 않습니다. 결국 경기는 벨라스케즈의 일방적인 공세 속에 종료되었고 심판진들은 전원 일치로 벨라스케즈의 왕좌 재등극을 선언해줍니다.

한 때 대권후보(?)였던 레슬러 짐 밀러는 초반의 하프 빰 클린치를 잡고 날린 엘보로 인한 컷 및 그에 따른 대량 출혈을 유발, 끝까지 하체 관절기에 길로틴 그립을 잡아내는 등 끈질긴 라우존의 저항을 뒤로 하고 끝까지 승기를 놓치 않고 판정승을 챙겼습니다. 파이트 오브 나잇 감의 명승부. 

오카미 유신에게 역전승을, 벨라토어 무패의 챔프 헥터 롬바드에게 KO승을 거둔 베테랑 팀 보에치와 마주한 미들급의 그리스 강호 콘스탄티누스 필리푸는 어퍼컷 등 타격으로 상대를 조금씩 압도, 상대의 그라운드 시도마저 거의 완벽하게 커트하다 하프가드에서 파운딩으로 TKO승을 거두고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됐습니다. 

유독 한국과 인연이 많은 파이터들 간의 일전이었던 오카미 유신과 앨런 벨처 간의 경기에서는 벨처가 클린 히트로 아주 잠깐 오카미를 주저 앉히거나 오카미의 테이크다운 실수로 상위 포지션을 차지하는 등 꽤 분발했으나 특유의 우직한 그래플링으로 경기 전체를 지배한 오카미가 판정으로 어렵지 않게 승리했습니다.

약물 양성반응으로 1년 만에 돌아온 악동 크리스 리벤은 UFC 신입 데렉 브론슨과의 UFC 복귀전에서 스테미너가 생각보다 일찍 바닥났지만 테이크 다운과 포지셔닝 킵 능력 등 한 수위의 능력을 지닌 브론슨에게 경기 내내 끌려다니는 경기 끝에 판정으로 패했습니다.

UFC 2차전에서 17초만에 TKO승리를 거둔 바 있는 멕시칸 기대주 에릭 페레즈는 바이런 블러드워스와 클린치 싸움 중 머리로 상대의 턱을 들어올려 시선을 분산시킨 뒤 니 킥으로 리버샷을 성공, 그라운드로 상대를 끌어들인 뒤 차분한 엘보와 펀치 파운딩으로 경기를 끝냈습니다.

두 번째 경기서 KO패로 퇴출당한 후 14개월 만에 UFC 복귀 전에 나선 토드 듀피는 잉글랜드 유술가 필립 데 프라이스에 숏 어퍼컷으로 데미지를 준 뒤 물러나는 상대를 라이트 훅을 중심으로 한 컴비네이션으로 추격, 레프트 어퍼컷과 라이트 훅 컴비네이션으로 심판의 경기 중지를 유도, KO승으로 복귀에 성공했습니다. 

경량급 강호 크리스 카리아소의 슬램과 타격 등 드센 공격에 고전하던 RITC, TCF 밴텀급 타이틀 홀더 존 모라가는 테이크다운을 시도하던 상대를 스탠딩 암 인 길로틴 초크그립으로 정지시킨 뒤, 몸을 돌려 낸 뒤 다스 초크그립을 추가, 넥 크렝크, 길로틴 초크, 다스 초크의 복합 초크로 탭을 받아내며 역전승리를 챙겼습니다.

[UFC 155 'Dos Santos vs Verasquez 2' 결과]

12경기: 주니어 도스 산토스 < 케인 벨라스케즈 (판정 3-0) * 헤비급 타이틀 전
11경기: 짐 밀러 > 조 라우존 (판정 3-0
10경기: 팀 보에치 < 콘스탄티누스 필리푸 (TKO 3R 2:11)

09경기: 오카미 유신 > 앨런 벨쳐 (판정 3-0)
08경기: 크리스 리벤 < 데렉 브론슨 (판정 3-0
07경기: 브레드 피켓 < 에디 와인랜드 (판정 2-1)
06경기
: 에릭 페레즈 > 바이런 블러드워스 (TKO 1R 3:50)

05
경기: 멜빈 길라드 < 제이미 바너 (판정 2-1)
04경기: 마이클 존슨
 < 마일스 쥬리 (판정 3-0)
03경기: 토드 듀피 > 필립 데 프라이스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3:10)
02경기: 레오나르도 가르시아 < 맥스 할로웨이 (판정 2-1)
01
경기: 크리스 카리아소 < 존 모라가 (길로틴초크 3R 1:11)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의 MMA 리얼리티 쇼 The Ultimate Fighter(TUF)의 16번째 결승전이 한국시각으로 16일, 개최지인 라스베가스 현지 시각으로 15일 개최되었습니다. 

쉐인 카윈의 무릎 부상으로 TUF 시즌 10 시절의 캐스트 동료이자 프로 풋볼 선수 맷 미트리언과 격돌한 이번 시즌의 코치 로이 넬슨은 상대에게 조금씩 타격을 허용하면서도 계속 전진, 압박하던 중, 스트레이트-어퍼컷-양 훅-파운딩으로 이어지는 컴비네이션으로 단숨에 경기를 끝냈습니다.

캐나다 최초의 TUF 파이터 마이크 리치와 미 육군 레인저 출신의 콜튼 스미스 간의 TUF 결승전에서는 리치가 백을 빼앗긴 상태에서도 암 바 시도를 하는 등 분전했지만 일방적인 테이크다운 성공과 포지셔닝을 앞세운 스미스가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거두고 시즌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UFC TUF 16 Finale의 공식 포스터 ⓒZuffa LLC]

베테랑 킥 복서 간의 대결로 기대를 모았던 전 K-1 파이터 팻 베리와 WBC 무에타이 챔프 쉐인 델 로자리오 간의 일전은 1라운드 상대의 그래플링에 고전해야 했던 베리가 오버언더 훅과 레프트 훅으로 전세를 역전, 턱이 돌아가며 쓰러질 정도의 강력한 라이트 훅 추가타로 단숨에 승부를 결정지었습니다.   

정 찬성의 지난 대전 상대였던 더스틴 포이리어는 거친 타격 전을 들고 나오는 TUF 시즌 12 챔프 조나단 브룩킨스에게 적잖은 데미지를 입었으나, 차츰 타격을 앞세워 타격 점유율을 높여가다 클린치에서 어퍼컷과 훅 연타로 브룩킨스의 테이크다운을 유도, 장기인 다스 초크로 탭을 받아냈습니다.    

미들급에서 활동하다 웰터급으로 체급을 옮긴 제임스 헤드에 클린치 압박과 타격러쉬에 고전했던 31전의 베테랑 마이크 파일은 빰 클린치를 반복하며 기회를 엿보다 빰 클린치를 잡고 바디에의 레프트 니 킥 후 곧바로 안면에의 라이트 니 킥을 적중, 헤드를 누인 뒤 파운딩 샤워로 경기를 뒤집어 버렸습니다.  

TUF 시즌 13 출신으로 근 1년만에 복귀 전에 출격한 존 배드포트는 레슬링과 타격의 압박으로 브라질리언 마르커스 비니시어스를 케이지 사이드로 몰아낸 뒤 라이트로 격추, 커버하며 방어하던 상대를 바디 킥과 파운딩 연타로 전투불능으로 만들고 TKO승을 얻어냈습니다.

K-1 KHAN 에서 천 재희를 하이킥 한 발로 KO시켰던 나즈메딘 알 하다드의 팀 메이트로 콤바 삼보 세계 챔프 루스탐 하빌로프는 두 차례의 저먼 스플렉스로 성공한 상태서 손목을 잡아 방어가 불가능하게 하는 리스트 클러치 백드롭으로 상대 빈센트 피첼을 KO시키는 저력을 과시했습니다.

닉 캔톤의 강력한 그래플링 압박에 종은 포지션을 차지하고도 빼앗기기 바빴던 티제이 월드버거는 상대의 테이크다운을 라이트로 격추, 곧바로 그라운드로 돌입해 길로틴-트라이앵글 그립을 잡은 뒤, 빠져있던 상대의 팔이 들어오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더욱 타이트하게 조여낸 끝에 캔톤을 실신시켰습니다.  

18개월 만에 복귀한 루벤 듀란을 상대로 UFC 밴텀급 데뷔 전에 나선 TUF 브라질 시즌 1 출신의 휴고 비엔나는 듀란에게 레프트를 허용하고 먼저 캔버스에 빠지는 불안한 출발을 보였으나 이후 타격전에서 상대를 몇 차례나 그라운드로 끌고갈 정도로 우세한 경기를 펼치다 묵직한 라이트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학창 시절 이름난 레슬러로 8전 1패의 우수한 전적을 가지고 있던 TUF 시즌 15 출연자 마이크 리오는 같은 15 출신의 존 코퍼의 테이크다운 시의 스트레이트 등 코퍼의 카운터에 적잖이 애를 먹어야 했으나 백에서의 탄탄한 암 바로 탭을 받아냈습니다.

 

멜빈 길라드와 제이미 바너의 일전은 지병으로 인한 바너의 심한 컨디션 난조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     

 

[UFC TUF 16 Finale 결과]


11경기: 로이 넬슨 > 맷 미트리언 (TKO 1R 2:48)

10경기: 콜튼 스미스 > 마이크 리치 (판정 3-0) * TUF 시즌 16 결승전

09경기: 팻 베리 > 쉐인 델 로자리오 (KO 2R 0:26)
08경기: 더스틴 포이리어 > 조나단 브룩킨스 (다스 초크 1R 3:15)
07
경기: 마이크 파일 > 제임스 헤드 (TKO 1R 1:55)

06경기: 조니 배드포드 > 마르코스 비니시어스 (TKO 2R 1:00)

05경기: 루스탐 하빌로프 > 빈센트 피첼 (KO 1R 2:15)
04경기: 티제이 월드버거 > 닉 캔톤 (트라이앵글 초크 2R 1:04)

03경기: 루벤 듀란 > 휴고 비엔나 (TKO 1R 4:05)
02
경기: 존 코퍼 < 마이크 리오 (암 바 3R 4:11)

01경기: 팀 엘리엇 > 자레드 파파지안 (판정 3-0)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를 마크하고 있는 북미 종합격투기 단체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의 시즌 7 마지막 이벤트인 84가 한국시각으로 15일 개최되었습니다.  

챔프 콜 콘래드의 은퇴로 인해 졸지에 타이틀 전을 겸하게 된 시즌 7 헤비급 토너먼트 결승전에서는 시즌 4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파이널리스트 리치 헤일과 M-1 동유럽 토너먼트 준우승자 알렉산더 볼코프가 격돌, 볼코프가 리치 차를 활용한 타격전으로 판정승을 거두고 우승, 상금 10만달러, 체급 챔피언벨트를 챙겼습니다.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 84의 포스터 ⓒViacom]

신 초크로 유명한 상대 조 베데포와 맞붙은 중견 신인 루이스 테일러는 상대보다 약간 긴 리치를 십분 활용, 상처 없이 베데포에게 들러붙어 상대를 괴롭히다가 상대의 하프가드 상태에서 바디, 잠겨진 다리, 안면을 공략하는 파운딩 컴비네이션을 시도하던 중 안면에의 엘보를 맞은 베데포가 실신, 승리를 챙겼습니다.

같은 날 치러질 예정이던 데이브 젠슨과 마친 헬트 간의 시즌 7 라이트급 토너먼트 결승전 겸 차기 라이트급 도전자 결정전에서는 시즌 8로 옮겨 치러질 예정입니다. 아울러 샤불랏 샤말라예프와 레즈 마르티네즈 간의 페더급 토너먼트 결승전도 시즌 8 초반 이벤트에서 열리게 됐습니다.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 84 결과]

 

10경기: 배럴 무하메드 > 퀸튼 맥코트렐 (판정 3-0)

09경기: 에디 카스틸로 < 데이브 샤프 (TKO 2R 2:35)
08경기: 리처드 헤일 < 알렉산더 볼코프  (판정 3-0) * 시즌 7 헤비급 토너먼트 결승전
07
경기: 잭 해머슨 < 대니얼 비즈카야 (판정 2-1

06경기: 펠리스 헤릭 > 패트리시아 비도닉 (판정 3-0)

05경기: 조 베데포 < 루이스 테일러 (KO 1R 4:12)
04경기: 크리스천 우플렉커 > 클리프 라이트 (테크니컬 판정 3R 2:26)

03경기: 제럴드 윌리엄스 > 조이 디엘 (판정 3-0)
02
경기: 앤턴 탈라만테스 < 앤터니 고메즈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3:30)

01경기: 로버트 화이트 > 케니 부커 (판정 3-0)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TUF의 첫 호주 전용 브랜드 The Smash의 첫 시즌의 결승전 UFC on FX 6가 15일 개최되었습니다.

호주 골드코스트에서 개최된 UFC on FX 6의 메인 겸 The Smash의 각 진영 코치 조지 소티로폴로스와 로스 피어슨 간의 일전서는 계속 정타를 허용하면서도 백을 따내는 소티로폴로스의 분발을 뒤로 한 피어슨이 3라운드 시작 직후 레프트 훅으로 승기를 잡은 뒤 레프트 스트레이트와 라이트 훅으로 TKO승을 거뒀습니다. 

호주 대 영국의 대전으로 짜여진 TUF The Smash 첫 시즌 라이트급 결승에서는 레슬러 노먼 파크가 한 수위의 레슬링을 바탕으로 판정승을 거뒀고, 웰터급에서는 타격에서의 실수로 2라운드를 내줬으나 화력전에서 상대를 압도한 호주의 로버트 위태커가 판정으로 우승했습니다.

                                   [UFC on FX 6의 공식포스터ⓒZuffa LLC]  

UFC 데뷔 전에서 졸전으로 비판을 받았던 벨라토어 미들급 챔프 헥터 롬바드는 하체관절기 스페셜리스트 후지마르 팔할레스를 펀치로 상대를 압도, 두 차례 그라운드로 상대를 보냈지만 스탠딩을 유지하다 훅과 어퍼컷 컴비네이션으로 3번째 그라운드로 보낸 뒤, 안면에의 파운딩으로 경기를 종료시켰습니다.

타이틀 전까지 나선 바 있는 강호 채드 맨데스는 본래 상대인 하르칸 디아즈 대신 출장한 야오친 메자를 묵직한 바디 샷과 레그 킥으로 괴롭히다가 케이지를 등지고 빠져나가려던 상대의 안면에 오버 핸드라이트를 작렬, 캔번스에 누인 후 시위느낌이 강한 파운딩 몇 방으로 조제 알도 전 패배의 아쉬움을 달랬습니다.  

주최지인 골드 코스트 선수인 베니 '블랑코' 알로웨이는 같은 호주 국적의 엘 살바도르 계 파이터 마누엘 로드리게즈와의 UFC 데뷔 전에서 의도치 않은 니 킥 로우블로우에 있던 상대의 턱에 프런트 킥을 꽂아 넣어 실신시킨 뒤, 파운딩으로 라운드 종료 3초전 승리를 챙겼습니다.   

한 때 8연승을 달릴 정도의 캐나다 중경량급 기대주 닉 패너를 상대로 UFC 데뷔 전에 나선 코디 도노번은 라이트 카운터와 거의 성공할 뻔한 암 바 시도 등 전체적으로 한 수위의 실력을 보여주며 유리한 경기를 이끌어가다, 레프트 훅과 라이트 훅 컴비네이션으로 상대를 실신시키며 데뷔 전을 승리로 장식했습니다.   

 

[UFC on FX 6 'Sotiropoulos vs Pearson' 결과]

 

10경기: 조지 소티로폴로스 > 로스 피어슨 (TKO 3R 0:41)

09경기: 브래드 스콧 < 로버트 휘태커 (판정 3-0) * TUF the Smash 시즌 1 웰터급 결승전
08경기: 콜린 플레처 < 노먼 파크 (판정 3-0) * TUF the Smash 시즌 1 라이트급 결승전 
07
경기: 헥터 롬바드 > 후지마르 팔할레스 (TKO 1R 3:38)

06경기: 채드 맨데스 > 야오친 메자 (KO 1R 1:55)

05경기: 조이 벨트런 > 이고르 포카라약 (판정 3-0)
04경기: 세스 바흐진스키 < 마이크 피어스 (판정 2-1)

03경기: 벤 알로웨이 > 마누엘 로드리게즈 (KO 1R 4:57)
02
경기: 브랜던 러프넨 < 마이크 윌킨스 (판정 3-0)

01경기: 코디 도노번 > 닉 패너 (TKO 1R 4:35)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유일의 한국계 UFC 챔피언 벤슨 핸더슨이 압도적인 경기 끝에 벨트를 지켜냈습니다. 

한국시각으로 9일, 개최지인 미국 시애틀 주 워싱턴 현지 시각으로 8일 개최된 UFC의 5번째 FOX 전용 이벤트인 UFC on FOX 5 'Henderson vs Diaz'에 출전한 핸더슨은 닉 디아즈의 동생이자 TUF 시즌 5의 우승자 네이트 디아즈를 상대로 2차 방어전에 나섰습니다.

킥을 차다 스탠딩에서 백을 잡히면서 경기를 시작한 핸더슨은 클린치 압박을 걸어오는 디아즈에 더블 언더 훅을 두 차례나 빼앗는 등 클린치 게임에서 압승, 테이크 다운을 먼저 성공시키며 점수를 쌓아갑니다. 상대의 테이크 다운시도도 완벽하게 커트한데다 펀치 원투와 킥 등 타격에서도 앞서가며 라운드를 챙겨갑니다. 

                               [UFC on FOX 5 의 공식포스터 ⓒZuffa LLC]

디아즈가 특유의 좀비 타격과 힐 훅 등 하체 관절기를 클린치 게임에서 한 수위의 게임을 보여주는 핸더슨은 엘보와 하이킥 등으로 재미를 봅니다.펀치로 디아즈를 캔버스로 보내며 디아즈에게 위기를 안겨주었던 핸더슨은 업어치기 식 테이크다운을 허용하는 듯 했지만 금세 몸을 빼내며 큰 점수를 내주지 않습니다.  

노려보지만 핸더슨의 카운터 태클과 포지셔닝에 별 재미를 못 볼 뿐만 아니라 다리 찢기, 발꿈치 찍기 등으로 여전히 압도적인 경기를 이어가는 핸더슨. 3라운드에 이어 4라운드에서도 더블 언더 훅으로 짚단 가지고 놀 듯 하며 그래플링 압박을 이어갑니다 

파이널 라운드, 사타구니에 손을 넣어 슬램식 테이크다운으로 디아즈를 내다 꽂은 핸더슨. 유도식 테이크 다운을 허용하지만 디아즈에 가벼운 하이킥으로 돌려주고 복부의 바디 연타로 핸더슨은 모든 라운드를 챙겨갑니다. 결국 UFC 심판진들은 핸더슨에게 전원일치 판정승을 선언, 방어전 성공을 확인시켜 줍니다.  

무서운 신예 알렉산더 구스타프슨을 상대로 타이틀 도전권 쟁탈전에 나선 전 챔프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는 초반 상대의 리치 탓에 타격전에서 크게 잃은 점수를 라이트를 앞세워 만회해 가며 분발했으나 상대의 카운터 태클에 여러차례 테이크다운을 내주면서 경기를 뒤집지 못하고 판정패를 당했습니다. 

13개월 여 만에 복귀 전에 나선 한국계 천재 파이터 비제이 팬은 GSP의 팀 메이트이자 리치차이가 16cm나 나는 신성 로리 맥도널드의 리치와 잽을 깨지 못해 엘보와 바디 샷에 의한 두 차례 그로기를 당하는 등 망신스런 경기 끝에 심판전원 일치 판정으로 패하고 말았습니다.  

김 동현의 전 대전상대 맷 브라운은 TUF 1 출신의 베테랑 마이크 스윅을 서브미션 컴비네이션과 스탠딩의 니 킥과 엘보 등으로 압박, 앞서가다 훅을 허치고 몸을 돌아나가려던 스윅의 진로를 라이트로 끊은 뒤, 턱에 레프트와 라이트로 연타를 꽂는데 성공, 실신 KO로 4연승을 기록했습니다.  

60여전을 치러낸 이브스 에드워즈와 28번의 경기를 가진 제레미 스테판스 간의 베테랑 간 일전에서는 플라잉 니 킥 등을 앞세우며 강하게 밀고 나오는 스테판스를 오히려 타격 압박으로 몰아간 에드워즈가 라이트 훅 카운터로 격추, 탑 마운트에서의 파운딩으로 상대를 실신시키고 1승을 추가했습니다. 

상대 헨리 마르티네즈의 복부에 미들킥을 꽂아넣고 킥 연타를 퍼붓는 등 거세게 밀어 붙였으나 상대의 터프함에 1라운드 승리에 이르지 못했던 TUF 15 출신의 데런 크룩솅크는 페이크로 상대의 눈을 속인 후 라이트 하이킥 단발로 정확히 상대의 목을 히트, 2라운드 KO승을 챙겼습니다.  

2단체 데뷔 전에 나선 명문 블랙질리언 소속의 아벨 트루질로는 끈질기게 테이크다운 등을 시도하는 등 그라운드를 원하는 상대 마커스 르베서의 의도를 엘보와 카운터 니킥 등으로 분쇄하며 경기를 풀어가다 스탠드에서 그라운드까지 이어지는 바디에의 니 킥으로 연 타로 데뷔 전을 승리로 장식했습니다.   

격렬한 파이팅으로 정평이 난 강호 스캇 요르겐슨은 TUF 시즌 14 출신의 존 알버트와 암 바, 인버티드 트라이앵글 초크 등 서브미션 시도를 주고 받다 하위 포지션에 있던 알버트가 리버스를 시도하는 것을 놓치지 않고 백을 획득, 리어네니키드 초크로 첫 라운드 종료 벨과 동시에 탭을 받아냈습니다.    

[UFC on FOX 5 'Henderson vs Diaz' 결과]

 

11경기: 벤슨 핸더슨 > 네이트 디아즈 (판정 3-0) * 라이트급 타이틀전 

10경기: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 > 알렉산더 구스타프슨 (판정 3-0)

09경기: 비제이 팬 < 로리 맥도널드 (판정 3-0) 
08경기마이크 스윅 < 맷 브라운 (KO 2R 2:31
07
경기: 이브스 에드워즈 > 제레미 스테판스 (TKO 1R 1:55) * 후두부 가격 

06경기: 마이크 이스턴 < 하파엘 아순상 (판정 3-0)

05경기: 램지 니젬 > 조 프록터 (판정 3-0)
04경기: 대런 크룩솅크 > 헨리 마르티네즈 (KO 2R 2:57)

03경기: 마커스 르베서 > 아벨 트루질로 (TKO 2R 3:56  
02
경기: 데니스 시버 > 남 판 (판정 3-0) 

01경기: 스캇 요르겐슨 > 존 알버트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4:59)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북미의 메이저 단체 벨라토어가 주최하는 종합격투기 이벤트 Bellator FC 83이 한국 시각으로 8일, 뉴저지 현지 시각으로 7일 개최됐습니다.

이번 흔치 않은 러시안 세계 무에타이 챔프 샤불랏 샤말라예프와 베테랑 웨그니 파비아누를 꺾은 레드 마르티네즈 간의 시즌 7 페더급 토너먼트 결승전은 경기 전 샤말라예프의 식중독으로 인해 한 주 뒤에 열릴 시즌 7 마지막 이벤트인 벨라토어 84로 연기 됐습니다.

비제이 팬, 마르셀로 가르시아 등 이름 난 팀 메이트들을 거쳐 온 앤터니 리오니는 초대 벨라토어 밴텀급 챔피언 잭 마코브스키를 한 수 위의 레슬링 압박능력으로 그라운드에 묶어 둔 뒤 각종 서브미션 기술과 끊임없는 포지션 디펜딩 능력으로 제압, 심판전원 일치 판정으로 대어 사냥에 성공했습니다.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 83의 공식 포스터 ⓒViacom]

베테랑 파이터 조지 거젤의 아내이자 현 체급 타이틀 홀더 조일라 거젤과 논타이틀로 맞붙은 제시카 아이는 빠른 훅과 크로스 카운터 컴비네이션으로 거젤에 데미지를 안긴 뒤, 백을 거쳐 스탠딩 암트라이앵글로 캐치하는데 성공, 경기시작 58초만에 실신시키는 대형사고(?)를 쳤습니다.

클린 레프트 스트레이트를 위시한 상대 대럴 호커의 스탠딩 타격 러쉬에 크게 시달렸으나 2라운드 중반부터 종료 시까지 그래플링으로 상대를 묶어 둔 크리스 리구오리의 분발로 인해 결과가 주목되었던 일전에서는 확실한 데미지를 안긴 호커의 타격을 높이 평가한 심판진에 의해 호커의 판정승리가 결정되었습니다.

지난 경기에서 벨라토어 첫 승을 올렸던 브릴랜 반 아스댈렌을 상대로 벨라토어 2번째 경기에 나선 터렐 홉스는 아스댈렌과 테이크 다운과 클린치 게임을 주고 받던 중 자신의 스탠딩 암트라이앵글 초크를 빠져 나오려던 홉스의 백을 빼앗은 뒤 즉시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시도, 탭을 받아냈습니다.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 83 결과]

09경기: 클라우디오 레데스마 > 보 헤리스 (판정 3-0)
08경기매튜 로자노 < 투안 팜 (판정 3-0
07경기: 터렐 홉스
 > 브릴랜 밴 아스달렌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3:07) 
06경기
: 대럴 호커
 > 크리스 리구오리 (판장 3-0)
05
경기: 샤불랏 샤말라예프
 = 래드 마르티네즈 (중지) * 시즌 7 페더급 토너먼트 결승
04경기: 잭 마코브스키
 
< 앤터니 리오니 (판정 3-0)
03경기: 조일라 거젤 < 제시카 아이 (암트라이앵글 초크 1R 0:58)
02경기: 지미 리베라 > 제시 브룩 (판정 3-0)
01
경기: 알렉세이 쿠딘 < 마이크 뷔셀 (판정 3-0)

반응형
Posted by giIpo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