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6월 올림픽대표선발전 당시 벤 에스크런의 모습 (사진출처_ Missourian File Photo)

베이징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이시이 사토시가 MMA에 진출하는 것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벤 에스크런이라는 베이징올림픽에 출전했던 현역 톱클래스 레슬러가 MMA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11월 4일 미국 격투기 웹진 MMA위클리는 벤 에스크런이 MMA 진출을 위해 12월부터 아메리칸탑팀(이하  ATT)에 합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주리대학 출신의 벤 에스크런은 2006년과 2007년 NCAA(전미대학체육연합) 자유형레슬링 -74kg급 챔피언이자 4년 연속 결승전 진출로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레슬링 강호입니다. 오는 15일 UFC91에서 랜디 커투어와 맞붙는 브록 레스너 역시 NCAA 챔피언 출신이죠. 특히 포크스타일 레슬링을 바탕으로 한 자신만의 '펑키'한 스타일을 선보인다고 하는데, 과연 국제식 레슬링에서도 그것이 통하겠느냐라는 의심도 받았지만 올해 베이징올림픽 대표선발전에서 발군의 실력으로 우승하면서 자신의 실력을 입증했습니다. 당연히 금메달 기대주로서도 주목을 받았었습니다만, 아쉽게도 실제 올림픽에서는 16강전에서 쿠바 선수에게 패하고 말았죠.




벤 에스크런은 이 때부터 MMA 진출을 고려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8월에 관련보도가 있었던 것을 보면요. 다만  아직 구체적인 데뷔 계획은 없고 ATT에서 브라질유술과 타격 등에 대한 준비를 충분히 할 것이라고 합니다. 요즘 서구 MMA계에서는 그야말로 격전장이라고 할 수 있는 웰터급에서 활동할 예정이라고 하니 확실히 대충 준비해서는 될 일이 아닐 테지요.


일본의 대표적인 격투기가 유도인 것처럼 미국에서 레슬링이 차지하는 위상도 비슷하기 때문에 이시이 사토시와 벤 에스크런은 자연스럽게 비교가 되는데, 특히 이시이 사토시로 떠들썩한 일본과는 대조적으로 차분한 미국 언론이나 벤 에스크런 본인의 태도가 눈에 띕니다. 물론 이시이 사토시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며 이미 브라질유술 갈띠 등 MMA 진출도 오래 전부터 준비해왔기 때문에 이미 데뷔전을 치를 준비가 된 상태라서 이슈를 만들기도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입니다. 하지만 벤 에스크런이 이시이 사토시 못지 않은 잠재력과 실력을 두루 갖춘 인재라는 점과, 어쨌든 둘 다 MMA에 갓 진입한 새내기 파이터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성적과 앞으로의  MMA에서의 성과과 꼭 비례하리라는 법은 없는 것이죠.

때문에 벤 에스크런은 자신을 MMA에 최적화시켜줄 수 있는 선배 파이터와 트레이너가 있다는 이유로 ATT라는 명문팀을 골랐습니다. 그리고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는 링에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스스로 못박았죠. 앞일은 두고봐야 알겠지만 아마 데뷔전도 그리 화려하지는 않을 것이고, 실제 무대에서도 오로지 실력과 결과로 스스로를 증명하고 장래를 개척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언론들도 여전히 그를 있는 그대로의 MMA파이터로서 조명하겠죠.

반면, 이시이 사토시는 (그것이 자의인지 타의인지는 모르겠지만) 스스로 팀을 만들고 그 때문에 학교 선배인 추성훈과 드림팀을 만든다, 다이너마이트에서 최홍만과 싸울지도 모른다 등등의 화제를 숱하게 뿌리고 있습니다. 드림 측에서는 거창한 기자회견까지 열어줬죠. 게다가 벌써 격투기 잡지 표지에까지 오르는 등 이미 MMA에서 스타급 선수로 뿌리내린 듯한 인상마저 주고 있습니다. 사실 일본 언론이 유망한 스포츠 스타에게 좀 심하다싶을 정도로 스포트라이트를 비춰주며 키워주는 것은 새삼스런 일이 아닙니다. 아마 데뷔전에서 조금이라도 좋은 결과가 나오면 더욱 부풀려질 것이고, 결과가 썩 좋지 않게 나왔다 하더라도 몇몇 좋았던 부분을 침소봉대하며 감싸줄 것입니다. 단체는 어쨌든 그를 계속 기용하겠지요. (타키모토 마코토의 경우에서 보듯, 정 할말이 없으면 '근성'이라도 들먹여주는 것이 일본이죠.ㅋ) 

물론 결과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과정에도 관심을 가져야할 때도 있습니다. 당장 성과가 없더라도 응원하며 지켜봐주는 것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에 대해서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고 담담히 바라봐주는 것이야말로 그 선수의 성장에 가장 필요한 태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