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번 글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시각과 표현을 포함하고 있는 칼럼입니다. 아오키 신야를 좋아하거나, 아오키도 싫지만 지엔오츠는 더 싫다, 또는 나는 죽어도 입식은 인정 못하는 종합빠돌이다.. 하시는 분들은 그냥 읽지 말고 넘어가시는 편이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되리라고 미리 알려드리는 바이니, 괜한 오기로 끝까지 읽고 기분 나쁘다, 글이 뭐 이 따위냐 등등 뭐라고 하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




2009년의 마지막 밤, 비정한 관절기로 히로타 미즈토의 팔을 부러뜨려서 저의 2010년을 1년 내내 불쾌하고 찜찜하게 만들었던 아오키 신야가 딱 1년 만에 K-1 MAX 챔피언 나가시마 '지엔오츠' 유이치로에게 이른바 '떡실신'을 당하며 자신의 업보를 갚았습니다. 인과응보, 사필귀정... 뭐 이런 말들이 떠오르네요. 흐므하하핫헤헤헤 -ㅁ-

더구나 그 그림이 도대체 뭐 하나 아오키가 그래도 이건 잘했다 해줄 수 있는 거리를 찾을래야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로 비참할 지경이었습니다. 물론 아오키의 전략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주어진 룰 안에서 자신이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엄연히 '정도'와 '사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오키의 그래플링 기술에 대한 재능은 높이 평가합니다만, 승부에서 자신(과 자신의 스타일)의 승리라는 결과 그 자체에만 집착한 나머지 아오키는 '사도'를 선택했습니다. 수많은 격투 팬들이 이번 경기를 통해 아오키에게 실망하고, 그의 패배에 기뻐한 것도 일종의 '정의는 이긴다' 류의 쾌감이 아니었나 싶군요. 

더욱 안타까운(?) 것은 그런 아오키의 '사도'가 썩 영리한 선택도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사실 아오키는 이번 경기를 앞두고서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타격을 '얕보는' 듯한 언행을 즐겨했지만, 그의 진심은 타격을 '겁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원래 아오키는 다들 아시는 것처럼 지독한 그래플링 기술 오타쿠였고, 타격에 대해서는 보디를 맞고 다운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지금의 타격 코치인 대도숙 키치조지 지부장 이무라 켄이치에게 무에타이를 배우면서 타격의 실체를 조금씩 맛보기 시작했죠.

그런데 어느 한 쪽으로 천재적인 재능을 보일 수록 상대적으로 자신이 취약한 부분을 알게 되면, 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도 그만큼 커지게 마련입니다. 거기서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면 다행인데, 그러지 못하면 '난 그런 거 안 해도 돼.'라는 식의 자기합리화로 이어지는 것이죠.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판단인지는, 뭐... 따로 말씀 안드려도 이번 경기 결과를 통해 충분히 드러났다고 봅니다.

정말로 타격을 우습게 봤다면, 이런 그림은 나오지도 않았을 것

여담입니다만, 사실 이번 아오키의 패배는 정해져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워크가 있었다거나 하는 음모설은 아니고, 일종의 징크스라고 해야겠죠. 일본의 유명 격투웹툰을 그리는 만화가 M씨는 아오키의 경기가 끝난 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아오키의 3승1패의 법칙은 이번에도 깨지지 않았다. DEEP50 출전이 정해졌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아, 다이너마이트에서는 지겠구나'라고 생각했다."라고요. 

그래서 아오키의 전적 기록을 찾아보니 정말 그렇습니다. 데뷔전 승리를 포함해 3승을 거둔 후 4전 째에 첫 패배를 경험한 아오키는 이후 사쿠라이 '마하' 하야토에게 패배한 것을 제외하면 2007년 야렌노카에서 정부경에게 승리할 때까지 연승 행진을 이어갑니다. 그러나 드림으로 활동 무대로를 옮기고 J.Z.칼반과의 경기를 노테스트로 끝낸 후, 아오키의 3승1패의 법칙이 시작됩니다. 이번 패배까지 총 4번, 그러니까 16경기를 통해 정확하게 3번 이기고 1번 패하는 루틴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죠. 


뭐, 어찌됐든 이번 경기를 통해 아오키의 찌질함이 만천하에 드러났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덕분에 아오키를 일본 MMA 최후의 희망 쯤으로 생각하고 있던 상당수의 일본 격투 팬들조차 아오키에게 등을 돌리게 됐습니다. 올해는 제발 그 중2병에서 벗어나 철 좀 들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햐, 이거 참.. 아무리 봐도 질리질 않는 장면이로구나... -ㅁ- ㅎ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스턴건' 김동현이 강적 네이트 디아즈를 상대로 29-28 심판전원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2011년 새해를 맞아 펼쳐진 UFC125에출전한 김동현은 자신의 장기이자 상대의 약점인 레슬링을 집요하게 파고들며 1, 2라운드를 자신의 라운드로 만들어 승기를 잡는데 성공했다. 마지막 3라운드에 들어서는 여유를 가지고 보디 스트레이트로 타이밍을 속이고 들어가는 기습적인 하이킥이나 허리후리기 등 큰 기술을 시도하며 강한 인상을 심어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로써 김동현은 동양인 최초로 UFC에서 패배 없이 5승을 거두는 기록을 세웠다.


                                            [UFC 125의 공식 포스터  출처=Zuffa LLC]

그러나 김동현은 레슬링 압박에 체력을 너무 소비한 탓인지 반칙 기술인 3점 포지션에서의 니킥에 충격을 받은 이후, 네이트 디아즈에게 흐름을 뺏기며 경기 후반에는 상당히 위험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3라운드 후반에는 지나치게 허리후리기 기술 시도에 집착한 나머지 네이트 디아즈의 더티복싱과 하이킥에 장시간 노출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해 팬들의 마음을 졸였다.

특히 이런 마무리 때문에 김동현의 판정승이 발표되자 상당수의 현지 팬들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으며, 반칙 기술을 당한 것에 대해서도 오히려 헐리우드 액션 아니냐는 비난도 나오고 있다. 물론 판정상으로는 어떻게 보든 1, 2라우드를 지배한 김동현의 승리를 의심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경기 내용이 관중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후반에 역전당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농후하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며, 따라서 앞으로 김동현은 스타일의 변화를 꾀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종합격투기 스타 고미 타카노리는 클레이 구이다의 파상 공격에 제대로 자신의 페이스를 잡지 못한 채 끌려다니며 다시 한 번 실망감을 안겨줬다. 이렇다할 공격도 해보지 못한 채 2라운드 들어 테이크다운을 허용한 고미는 그라운드에서 엎치락뒤치락하다가 결국 클레이 구이다의 길로틴초크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탭아웃하고 말았다. 

브랜드 베라와 티아고 실바의 경기는 마치 김동현과 네이트 디아즈의 라이트헤비급 버전을 보는 듯 했다. 과감한 로킥과 가드 포지션에서의 서브미션을 노리는 브랜든 베라를 티아고 실바가 강력한 테이크다운과 빈틈없는 포지션 압박으로 3라운드 내내 괴롭혔다. 특히 한 차례 백포지션을 잡은 티아고 실바는 브랜든 베라의 양 측두부에 과거 사쿠라바 카즈시가 보여줬던 몽골리안촙을 구사하는 등 손바닥으로 마치 따귀를 때리듯 하는 공격을 연속으로 구사하며 그야말로 '굴욕감을 안겨'주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루즈한 흐름을 보였던 UFC125의 분위기를 바꾼 것은 브라이언 스탠이 크리스 리벤을 1R TKO로 무너트리면서부터였다. 서로 탐색전을 펼치며 몇 차례 공방을 주고 받은 두 사람이었지만, 리벤의 펀치 연타를 뒤로 빠지며 받아치던 스탠의 라이트 크로스가 리벤의 안면에 적중했다. 이어 두어 차례의 정타를 더 허용한 리벤은 어떻게든 스탠의 공격을 견뎌내려 했지만 또 한 번 니킥을 허용하며 무너지고 만다. 결국 일방적인 스탠의 파운등 공격이 계속되자 레퍼리가 경기를 중단시키고 스탠의 TKO 승리를 선언했다.


이어진 메인이벤트 프랭키 에드가와 그레이 메이나드의 라이트급 타이틀매치는 2011년 벽두를 장식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명승부였다. 링중앙을 선점하고 기다리는 메이나드에 대해 빠른 좌우 스텝과 타격 컴비네이션으로 접근하던 프랭크 에드가. 그러나 오히려 메이나드에게 카운터 펀치를 허용하며 큰 충격을 받는다. 1라운드 시작한 지 채 2분도 되지 않는 시점, 이대로 경기가 끝나는 것이 아닌가 했지만 프랭키 에드가는 놀라운 정신력으로 반그로기 상태에서 1라운드를 끝까지 버텨냈다.

어느 정도 정신을 차린 에드가는 2라운드 초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쉴 새 없이 펀치와 킥을 내며 페이스를 회복하는데 주력하는가 싶더니 기습적인 태클에 성공, 그대로 메이나드를 머리 뒤로 크게 던져버리며 흐름을 완전히 뒤집어버렸다.

3, 4라운드 또한 에드가의 공세는 계속됐다. 빠른 리듬으로 타격이 끌어주고 레슬링이 받쳐주는 에드가의 파상 공격에 메이나드는 쉽사리 기회를 잡지 못했다.

그러나 메이나드 또한 그대로 무너지지는 않았다. 에드가의 리듬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4라운드 후반부터 다시 메이나드는 카운터 펀치를 몇 차례 히트시키며 역공을 시작했다. 5라운드는 서로 정타를 몇차례나 주고받는 박빙의 승부가 펼쳐졌다.

결국 승부는 배심들의 손에 쥐어졌고, 유례없는 싸움에 판정 또한 UFC에서 보기드문 무승부라는 결과가 나오고 말았다. 심지어 판정 내용 또한 48-46, 46-48, 47-47로 3명의 심판이 모두 다른 판정을 내릴 정도였다. UFC 다나 화이트 사장은 이후 기자회견에서 둘의 리매치를 준비하겠다고 발표했다.



[UFC 125 'Resolution' 결과]

11경기: 프랭키 에드가 = 그레이 메이나드 (판정 1-1) * 라이트급 타이틀 전
10경기: 크리스 리벤 < 브라이언 스탠 (1R 3:38, TKO)
09경기: 브랜던 베라 < 티아고 실바 (판정 3-0, 30-27
)
08경기: 네이트 디아즈 < 김동현 (판정 3-0, 29-28
)
07경기: 클레이 구이다 > 고미 다카노리 (2R 4:27, 길로틴초크)

06경기: 마커스 데이비스 < 제레미 스테판스 (3R 2:33, KO)
05경기: 조쉬 그립시 < 더스틴 포이리어 (판정 3-0)
04경기: 필 바로니 < 브래드 타바레스 (1R 4:20, TKO)
03경기: 마이크 브라운 < 디에고 눈즈 (판정 2-1)

02
경기: 다니엘 로버츠 > 그렉 소토 (1R 3:45, 키무라록)

01
경기: 제이콥 볼크만 < 안토니오 맥기 (판정, 2-1
)

반응형
Posted by giIpo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