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투 뉴스'에 해당되는 글 1608건

  1. 2016.07.09 [TUF 23 Finale] 최두호 단발 펀치 TKO승리, 옌드레이첵이 판정으로 벨트 지켜내
  2. 2016.07.08 [UFN 90] 알바레즈 펀치로 염원하던 UFC 벨트 획득, 넬슨은 스플릿 판정패배
  3. 2016.07.02 [RFC 32] 김수철 단발 바디샷 KO, 밥 샙은 또 다시 워크논란
  4. 2016.06.25 [MAX FC 04] 입식 복귀 임준수 부상으로 허무한 패퇴,두 개의 타이틀 전이 확정
  5. 2016.06.25 [BM 157] 램페이지 스플릿 판정승, 챈들러가 원 펀치 KO로 라이트급 타이틀 탈환
  6. 2016.06.19 [UFN 89] 거리 제압한 탐슨 판정승리 ,세로니는 코테에 TKO로 완승
  7. 2016.06.18 [BM 156] 타격 스피드 앞세운 단타스 20 개월 만의 벨트 탈환, 하이는 역전 TKO승
  8. 2016.06.18 [WSOF 31] 표도르 킬러 이바노프 졸전 끝 판정으로 벨트 수성, 하이는 단발 펀치 역전승
  9. 2016.06.05 [UFC 199] 김동현 분전 끝 KO패배, 비스핑이 KO로 신 챔피언 등극
  10. 2016.06.04 '착의 종합격투기' 대도숙 쿠도, 대구서 세번째 전한국 선수권대회
  11. 2016.05.30 [UFN 88] 가브런트 KO로 알메이다 완파, 페더급 데뷔 바라오는 판정참패
  12. 2016.05.27 [OC 43] 크리스천 리 파죽의 5연승, 나이토 불굴의 초크로 신 챔피언에 1
  13. 2016.05.22 [TFC 11]챔프 곽관호 UFC 리거에 판정승, 데뷔 전 김지연도 판정승
  14. 2016.05.20 [BM 155] MMA 대권 첫 도전 매누프 미묘한 판정에 무릎. 커런은 전 WSOF 챔프 카라칸얀에 판정승
  15. 2016.05.15 [UFC 197] 미오치치 단발 카운터로 헤비급 벨트의 새 주인에, 자카레가 베우포트에 압승
반응형

[UFC The Ultimate Fighters 23 Finale 의 공식포스터]

'수퍼보이'가 최두호가 단발 펀치 TKO로 UFC 3연승을 기록했다.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UFC의 362번째 경기이자, UFC의 서바이버 프로그램 TUF의 23번째 시즌 결승전 이벤트인 The Ultimate Fighters 23 Finale에 출전, 27전의 베테랑 그래플러 티아고 타바레스를 상대로 단체 3번째 경기에 나섰다. 

[승리 후 활짝 웃음을 짓고 있는 최두호]

태클을 쳐오는 타바레스에게 카운터 플라잉 니킥을 시도했으나 타이밍이 맞지 않아 세 차례의 테이크 다운을 내주었던 최두호는 그러나, 케이지를 등지고 탈출, 상대인 타바레스의 전의를 크게 꺾어 놓았다. 일어나자마자 케이지 쪽으로 타바레스를 벽 쪽으로 몬 최두호는 훅으로 가드를 두들겨 타바레스가 가드를 넓게 잡도록 유도했다. 

[최두호의 라이트 스트레이트에 찌그러진 티아구 타바레스의 안면] 

상대의 발이 멈추자 최두호는 레프트 잽에 이은 스트레이트를 타바레스에 턱에 꽂아넣었다. 턱에 클린히트 한 방을을 허용한 타바레스는 다리가 풀리며 그대로 주저 앉아버렸고,  파운딩을 한 방 더해, 담당 레프리 허브 딘의 경기 중지를 이끌어냈다. 종료 직후 인터뷰서 최두호는 퓨드가 있었던 카와지리 타츠야 vs 컵 스웬슨 승자와의 대전을 요구했다. 

[요안나 옌드레이첵이 클린치로 들러붙는 클라우디아 가델라의 턱을 밀어 내고 있다]

TUF 23의 챔피언 요안나 옌드레이첵과 도전자 클라우디아 가델라 간의 2차전 겸 여 스트로급 타이틀 전에서는 전반까지 하이 페이스의 클린치 게임으로 옌드레이칙을 압도한 가델라가 2라운드까지 앞서갔으나, 3라운드부터 가델라의 스태미너가 눈에 띄게 저하되자, 옌드레이첵이 스탭을 살린 타격으로 피치를 높여 일방적으로 후반 3개의 라운드를 압도, 심판 전월일치 판정승으로 벨트를 지켜냈다.

[앤드류 산체스를 펀치로 몰아붙이는 칼릴 라운트리]

RFA 미들급 출신의 간의 대결이기도 했던 TUF 23 남자 라이트헤비급 결승에서는 RFA의 전 미들급 챔피언 앤드류 산체스가 한 수위의 그래플링 능력으로 심판전원일치 판정으로 토너먼트 챔피언이 되었다. 킥으로 4전 무패의 하드 펀처인 칼릴 라운트리의 펀치를 이끌어 낸 후 카운터 테이크 다운을 잡아냈던 산체스는 주로 상대를 케이지 포스트에 처박은 후 백에서 상대의 한 손을 봉쇄 후, 잔 파운딩으로 캔버스에 잡아두는 전법을 활용, 승리의 키로 삼았다. 

[아만다 바비 쿠퍼에 초크그립을 잡은 후 변형 다스초크인 재패니즈 넥타이를 시도하는 타티아나 수아레즈]

TUF 23 여자 스트로급 결승에서는 갑상선 암으로 레슬링 국가대표의 꿈을 접어야 했던 타티아나 야디라 수아레즈 파딜라가 서브미션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복서이자 같은 클라우디아 팀의 아만다 쿠퍼를 일찌감치 테이크 다운시킨 수아레즈는 파운딩을 내다 쿠퍼에게 암 바를 잡히기도 했으나, 케이지 쪽에 공간부족 덕에 위기를 탈출, 잠시 상위 포지션을 뺏어낸 쿠퍼에게 싱글 렉으로 재차 테이크 다운을 얻은 후, 다스 초크로 경기를 마무리, 토너먼트 챔피언에 자리에 올랐다. 

[타격을 교환하는 로스 피어슨과 윌 브룩스]

타이틀을 반납하고 UFC로 이적해온 벨라토어 라이트급 챔프 윌 브룩스는 난전 끝애 심판전원일치 판정으로  TUF 시즌 9 우승자 로스 피어슨을 심판전원일치 판정으로 꺾어냈다. 스위치 타격과 레슬링을 앞세웠으나, 만만찮은 타격으로 바싹 추적해온 피어슨에 브룩스가 앞선 것은 2R 중반. 덧걸이를 더한 테이크 다운 후 백을 두 차례나 잡아낸 데다가, 더티 복싱에서도 한 발 앞선 모습으로 마지막 라운드 타격으로 바싹 추적해 오는 피어슨을 떨어뜨려 놓을 수 있었다.  

[승리 후 자국 국기 옆에서 무릎을 꿇은 채 승리를 만끽하는 죠아킴 시우바]

TUF 브라질 시즌 4의 라이트급 컨텐더 죠아킴 시우바는 상대의 빈 틈을 놓치지 않은 차분함으로 초살 KO승리를 챙겼다. 탐색전이 미처 끝나기도 전 11전 전승의 앤드류 홀브룩의 킥을 캐치한 시우바는 서둘지 않고 한 타임을 쉰 후 양 손으로 다리를 들어 쓰러뜨렸다. 무방비로 급히 일어나는 홀브룩의 턱에 수평 라이트 훅을 히트시킨 시우바는 누워버린 시우바의 안면에 파운딩을 연사,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UFC The ultimate Fighters 23 Finale 'Jedrzejczky vs Gadelha 2' 결과]

12경기: 요아나 옌드레이첵 > 클라우디아 가델라 (판정 3-0) * 女 스트로급 타이틀 전 

11경기: 앤드류 산체스 > 칼릴 라운트리 (판정 3-0) * 라이트 헤비급 토너먼트 결승

10경기: 타티아나 수아레즈 > 아만다 바비 쿠퍼 (다스 초크 1R 3:43) * 女 스트로급 토너먼트 결승 

09경기: 로스 피어슨 < 윌 브룩스 (판정 0-3)

08경기: 티아고 타바레즈 < 최두호 (KO 1R 2:42)  

07경기: 앤드류 홀브룩 > 죠아킴 시우바 (판정 3-0)

06경기: 그레이 메이나드 > 페르난두 브루노 (판정 3-0)

05경기: 존 모라가 < 마테우스 니콜라우 페레이라 (판정 1-2

04경기: 코리 핸드릭스 < 조쉬 스탠스베리 (판정 0-2

03경기: 세자르 페레이라 > 앤터니 스미스 (판정 3-0)  

02경기: 제이크 매튜스 < 케빈 리 (TKO 1R 4:06)  

01경기: 리징량 > 앤톤 자피르 (KO 1R 2:46)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 Fight Night 90 의 공식 포스터]

UFC의 361번째 대회 겸 서브 브랜드인 UFC Fight Night의 90번째 이벤트인 UFC Fight Night 90 'Dos Anjos vs Alvarez' 가 개최지인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가스 현지 시각으로 7일, 한국 시각으로 8일 개최됐다. 

[하파엘 도스 안요스에게 어퍼컷을 퍼붓는 에디 알바레즈]

벨라토어 등 4개의 타 단체 벨트를 가지고 있던 에디 알바레즈가 염원하던 UFC 벨트를 손에 넣었다. 타이틀 홀더 하파엘 도스 안요스의 두 번째 방어전 상대로 나선 알바레즈는 도스 안요스의 타격 압박을 꾸준히 돌려주며 기회를 엿보다 가드 위를 때리는 왼손 페이크 후 안으로 감아치는 숏 라이트 훅으로 도스 안요스의 다리를 풀어버렸다. 플라잉 니 킥 시도로 잠시 깔렸으나 손쉽게 스탠딩을 회복한 알바레즈는 다시 타격을 난사하기 시작했고, 어퍼컷 허용 후 선채로 얼굴에 연타를 허용하는 도스 안요스를 보다못한 레프리 허브 딘이 경기를 종료시켰다.   

[경기 종료 직전 훅으로 로이 넬슨의 안면에 카운터 클린히트를 성공시키는 데릭 루이스]

헤비급 12위의 랭커 데릭 루이스는 10위의 베테랑 로이 넬슨을 고투 끝에 판정으로 꺾고 귀중한 승리를 챙겼다. 첫 라운드 킥과 펀치의 컴비네이션과 플라잉 니 킥 등 2R 초반까지 압박했던 루이스는 체력 저하와 예상치 못한 넬슨의 로우킥, 여러 차례 테이크 다운에 끌려다녀야 했다. 그대로 패색이 짙은 듯 했던 루이스는 그러나 3R 막판 넬슨의 고개가 크게 꺾일 정도의 훅을 성공시키는 등 끝까지 분전했고, 두 명의 저지로부터 우세를 얻어낼 수 있었다. 

[앨런 조우반의 하이킥을 가드로 방어하는 블랄 무하메드]

모델 앨런 조우반과 9전 무패의 타이탄 FC의 전 타이틀 홀더 블랄 무하메드 간의 경기에서는 앞선 두 라운드에서 타격으로 3번의 다운을 만들어 낸 조우반이 난타전 끝에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챙겼다. 마지막 라운드 후반 라이트에 걸린 후 무하메드의 펀치 압박에 끌려다녀야 했던 조우반은 그러나, 1R에 페인트를 섞은 레프트 펀치와 레프트 킥으로 두 차례,  2R에서도 훅으로 한 차례 플래쉬 다운을 만들어내며 승부를 가져갔다. 무하메드의 맷집이 빛났던 경기. 

[조셉 더피의 백 초크에 미치 클락이 탭을 치고 있다]

英 단체 케이지 워리어에서 코너 맥그리거를 꺾은 바 있는 아이리쉬 강호 조셉 더피는 초살 서브미션 한 판 승리로 지난 패배의 아쉬움을 달랬다. 더스틴 포이리에에게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배를 당했던 더피는 서브미션 패배가 없던 미셸 클락을 스타트 직후 라이트 크로스 카운터 훅으로 다운시켰다. 엎어진 클락이 몸을 돌리고 업킥으로 반격을 꾀했으나, 백을 잡아낸 더피가 이미 쑤셔놓은 오른 팔뚝을 이용,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완성해 25초만에 승부를 결정지었다. 

[첫 라운드 종료 직전 파일에게 길로틴을 잡힌 알베르토 미나가 손가락을 세워 괜찮다는 표시를 하고 있다

한국에서 추성훈과의 격전으로 잘 알려진 알베르토 미나는 레전드를 상대로 KO승을 거뒀다. WEC 챔피언 출신의 베테랑 마이크 파일을 단체 3번째 상대로 맞이한 미나는 일찌감치 레프트 훅 등 타격으로 우세를 잡고, 첫 라운드를 챙겼다. 2R 로우킥이 잡힌 마이크 파일이 발을 빼며 한 바퀴 회전하는 것 틈을 놓치지 않고 돌진한 미나는 한 발은 복부에 가볍게,  반대 발을 돌아나가는 상대에 턱에 꽂히는 이단 플라잉 니킥으로 파일을 다운, 파운딩으로 경기를 마무리, 13전 전승 무패행진을 계속했다. 

[페드로 무뇨즈의 길로틴 초크에 괴로워 하는 러셀 돈]

타이치 팔레스와 킹 오브 케이지 두 단체의 챔프 셀 돈의 맹타에 시달려야 했던 RFA 밴텀급 전 타이틀 홀더 페드로 무뇨즈는 기발한 서브미션으로 단체 첫 승 후 2년 만의 승리를 맛봤다. 장내를 울리는 미들킥, 턱을 뒤흔드는 스트레이트 카운터와 훅 연사에 클린히트 당하면서도 스탠딩 엘보 등으로 기회를 엿보던 무뇨즈는 스크램블 후 스탠딩에서 백을 잡아냈고, 무뇨즈가 돈의 목에 매달려 길로틴 초크를 시도했다. 돈이 빼보려했으나 이미 깊숙히 꺾인 뒤였다. 

26전의 중견 필리페 아란테스는 하위 포지션에서의 서브미션으로 역전승을 거두고 밴텀급 2연승을 이어갔다. 초반 펀치와 니 킥 컴비네이션으로 다운을 만드는 등 반짝 우세를 보였던 아란테스였으나 곧 탑 포지션을 빼앗기는 등 상대의 탄탄한 그래플링에 흐름을 내줘야했다허나 두 번째 라운드, 샌더스에 깔려 가드 포지션에서 기회를 였보던 아란테스는 체중을 실어 누르고 있던 상대의 다리 밑으로 손을 넣고 몸을 야금야금 돌려 암 바를 완성, 구두 탭을 받아낼 수 있었다.  

[니 킥으로 루카즈 사예우스키의 안면을 노리는 길버트 번즈]

단체 첫번째 승리를 노리는 폴란드의 신인 루카즈 사예우스키랑 만난 길버트 번즈는 탑 클래스 주지떼로 다운 독특한 서브미션의 컴비네이션으로 1승을 추가했다. 상대가 거리가 닿지 않는 거리에서 체중을 시른 오버 언더 훅, 위력적인 니 킥 등으로 일찌감치 스탠딩 타격에서마저 승기를 잡은 번즈는 펀치 컴비네이션 다운 후 백을 잡아냈고,  상대의 몸을 묶고 있던 4자 바디락을 풀어 어깨로 이동, 팔을 뽑아내며 비스듬한 암바로 연결시켜냈다. 

[마르코 벨트런에게 슬램 공격을 가하려는 헤지날두 비에이라]

멕시코의 밴텀급 기대주 마르코 벨트런은 초크 한판승으로 단체 3전 전승을 이어갔다. 그래플러 헤지날두 비에이라의 타격 후 태클 전법에 휘둘리던 벨트런은 1R을 내줘야 했으나 , 2R 테이크 다운을 내준 후 알리 포지션에서 들어오던 비에리아를 두 차례 업킥으로 다운시켜 승기를 잡았다. 이어진 상대의 하체관절기 시도를 피해 백을 잡은 벨트런이 바디 훅을 곁들인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안면과 복부에의 펀치를 교환하는 알바로 헤레라와 빈센테 루케] 

TUF 21 세미 파이널리스트 빈센테 루케는 원사이드 게임 끝의 초크로 UFC 두 번째 승리를 챙겼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UFC 두 번째 승리를 노리던 멕시코의 알바로 헤레라를 상대로 단체 3번째 경기에 나선 루케는 한 수위의 테이크 다운 능력으로 헤레라의 스테미너를 크게 저하시키는데 성공, 주도권을 손에 넣었다. 2R 가드가 내려 갈 정도로 지친 헤레라에 테이크 다운 후 파운딩으로 기회를 엿보던 루케가 사이드에서 다스 초크로 탭을 이끌어냈다

[UFC Fight Night 90 'Dos Anjos vs Alvarez' 결과]

12경기: 하파엘 도스 안요스 < 에디 알바레즈 (TKO 3R 3:49) * 라이트급 타이틀 전

11경기: 데릭 루이스 > 로이 넬슨 (판정 2-1)

10경기: 앨런 조우반 > 벨랄 무하메드 (판정 3-0) 

09경기: 조셉 더피 > 미치 클락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0:25)

08경기: 마이크 파일 < 알베르토 미나 (KO 2R 1:17)  

07경기: 메흐디 바그다드 < 존 맥대시 (판정 1-2)  

06경기: 앤터니 버첵 > 딜레노 로페즈 (판정 2-1)  

05경기: 러셀 돈 > 페드로 무뇨즈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2:08)  

04경기: 필리페 아란테스 > 제로드 샌더스 (암 바 2R 1:39)

03경기: 길버트 번즈 > 루카즈 사예우스키 (암 바 1R 4:57)

02경기: 헤지날두 비에이라 < 마르코 벨트런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3:04

01경기: 알바로 헤레라 < 빈센테 루케 (다스 초크 2R 3:52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ROAD FC 032 의 포스터]

로드 FC의 32번째 넘버링 대회이자 2번째 중국대회인 ROAD FC 032가 2일 중국 후난성 창사에서 개최됐다. 

이번대회에서는 워크(* 일부러 패하는 일종의 승부조작 행위)는 없다라며 사실상 이전에도 워크를 해왔음을 인정했던 밥 샙은 이번 경기에서도 워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39초만에 無 데미지로 KO패 한 것. 

타단체 시합에서 데뷔전 상대에게 초살 KO를 당할 정도로 형편없는 실력을 지녔으나 중국의 헤비급 에이스로 푸쉬를 받고 있던 아오르꺼러가 지난 경기에서 최홍만에게 실신 KO패하며 그 바닥을 들어내자, 이번 중국대회의 메인이벤터 겸 아오르꺼러의 상대로 낙점된 밥 샙은 경기 시작직후 스트레이트와 훅으로 아오르꺼러를 압박하는 듯 했으나 엉망진창으로 휘둘러대는 상대의 펀치에 맞지도 않고 압박당하는 듯 하더니 그대로 커버를 감싸고 누워 경기를 포기했다.

이 날의 유일한 볼거리였던 김수철과 전 UFC 리거 주마비에커 투얼산의 페더급에서는 김수철이 자신의 특기인 난타전을 앞세워 압박, 바디 샷 한 방으로 완승을 거뒀다. 초반부터 타격과 테이크 다운을 앞세워 압박을 들어간 김수철은 케이지의 몰린 투얼산의 훅의 한 두 차례 안면을 내주었으나, 사이드로 돌면서 낮은 레프트 훅을 투얼산의 복부에 꽃는데 성공, 다운시켰다. 투얼산이 배를 감싸고 구르는 것을 김수철이 파운딩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포스트 송가연으로 단체의 푸쉬를 받는 이예지는 가라데 베이스의 일본 기대주 하나 다테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녔으나, 2-0의 괴상한 판정으로 승리했다. 팔을 쭉뻗고 카운터를 노리는 올드 스타일 가라데 스타일의 다테에게 좀처럼 들어가지 못했다. 타격전에서 상대의 카운터에 원 사이드로 밀리다 1,2 라운드 한 차례식 태클 실패 후 암 바를 시도, 단 한차례의 캐치도 얻지 못했으나, 2-0으로 이예지의 승리가 선언되었다. 

관장 및 단체 레프리로 활약하던 곽병인은 중국 레슬링 국가 대표 출신 허우전린의 파운딩에 완패했다. 미스터 킥복싱 답게 강력한 로우킥으로 허우전린의 다리에 데미지를 흔들었으나, 곧 다리를 캐치 당한 후 케이지 사이드 쪽에 처박혔다. 곽이 상위 포지션 스윕을 막기 위해 다리를 얽었으나 허우가 곽을 눌러 놓고 파운딩을 연사했다. 곽이 손으로 막아보았으나 그대로 파운딩이 연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다못한 레프리가 경기를 종료시켰다. 

4연승을 기록 중인 링스의 신예 아사쿠라 카이는 상대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서브미션으로 단체 데뷔 전을 마무리했다. 4전 2승 2패의 산타 파이터 리우샤오양과 맞붙은 아사쿠라는 하이킥으로 포문을 열었으나, 만만치 않게 받아오는 리우의 펀치에 클린치를 잡아냈다. 리우의 목감아 던지기에 거의 테이크 다운을 내 줄 뻔했으나, 백을 차지 레그락으로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한 뒤, 그립 싸움 끝에 팔뚝을 중국인의 목에 감아넣어 탭을 받아냈다. 

[Road FC 32 결과]

09경기: 밥 샙 < 아오르 꺼러 (TKO 1R 0:33) * 무제한급 

08경기: 노리 다테 < 린허친 (판정 0-3) * -56kg 계약

07경기: 김수철 > 주마비에커 투얼산 (TKO 3R 2:51)  

06경기: 이예지 > 하나 다테 (판정 2-0)  

05경기: 곽병인 < 허우전린 (TKO 1R 1:59)  

04경기: 이형석 < 알버트 챙 (판정 0-3)  

03경기: 아사쿠라 카이 > 리우샤오양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1:53)

02경기: 김옥명 > 허지안웨이 (판정 3-0)

01경기: 오두석 < 황전위에 (판정 0-3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국내 입식의 부활을 꿈꾸는 국내 메이저 킥 단체 MAX FCd의 4번째 이벤트인 MAX FC 04 In 익산 'Show Me the MAX' 가 익산 공설운동장 내 실내체육관에서 25일 개최되었다. 

[권장원의 킥을 방어하는 임준수]

10여 년 만에 킥무대 복귀 전에 나선 베테랑 MMA 파이터 임준수는 부상으로 경기를 포기, 속절없는 패배를 기록하고 말았다. 19세의 젊은 헤비급 신인왕 원주청학 무에타이의 권장원에게 강력한 훅으로 공격을 시작했던 임준수였으나, 권의 잇달은 킥을 블록하던 왼쪽 팔이 부러지는 큰 부상이 발생하고 말았다. 첫 라운드 종료 후 닥터 체크를 거쳐 경기 중지가 선언, 권의 TKO 승리가 확정됐다. 

[니킥과 펀치로 타격 공방을 벌이는 뎃분종 페어텍스와 박만훈]

170전의 가까운 전적을 자랑하는 태국 레전드 뎃분종 페어텍스는 태국 낙무아이 특유의 여유넘치는 경기운영으로 판정승으로 한국 무대 데뷔 전을 장식했다.  6전의 작은 전적이지만 KMK -70kg급 타이틀 홀더 박만훈의 대전 상대로 나선 댓분종은 한 방으로 코너 포스트까지 밀려나가 만드는 프런트 킥, 일방적인 클린치에서의 던지기로 원사이드 게임을 이어나갔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박만훈의 분전에도 불구, 심판전원일치로 댓분종의 판정승리가 선언됐다. 

[김동성과의 경기를 플라잉 니킥으로 마무리하는 김상재] 

-55kg급 초대 챔피언 벨트가 걸린 토너먼트 결승은  24세의 젊은 베테랑과 28세의 한국 경량급 최강의 구도로 압축됐다. 37전의 젊은 기대주 윤덕재는 72전의 베테랑으로 뛰어난 클린치 게임을 자랑하는 日 베테랑 후지와라 아라시를 긴 리치와 빠른 스탭의 킥과 펀치로 제압, 판정승리로 결승티켓을 손에 넣었다. 국가대표만 7차례를 지닌 50전의 김상재는 무호흡에 가까운 콤보 연사와 플라잉 니킥으로 2단체 챔프 김동성을 3연속 다운으로 격침, 결승에 안착했다.

[단체의 아이돌 전슬기가 오경미의 하이킥을 피해내고 있다]

-52kg급 첫 번째 여왕을 정하는 토너먼트 4강전에서는 현역 간호사 김효선과 산타 국가대표 출신의 아이콘 전슬기가 각각 판정승으로 차기 대회에서 벨트를 두고 자웅을 겨루게 되었다. 김효선은 묵직한 펀치를 지닌 부산 홍진의 장현지를 킥을 앞세운 러쉬와 클린치 니 킥으로 압박, 판정승으로 결승에 선착했으며, 전슬기는 전진해 들어오는 수원 참피온 짐의 오경미를 히트율 높은 펀치 카운터로 공략, 심판 전원일치 승리를 거둬 결승 진출티켓을 손에 넣었다.

[임준영의 니 킥을 허용하고 무너지는 이기광]

2015년 무에타이 신인왕 임준영은 KBC 72kg급 현역 챔프 이기광을 니 킥 샤워로 잡아냈다. 클린치 스크램블 중 복부의 니 킥으로 이기광을 한 차례 떨군 임준영은 펀치 러쉬를 곁들인 니 킥 컴비네이션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또 한번의 다운을 완성했다. 적잖은 데미지를 남겨 주고도이의 거친 저항에 1R내 3다운에는 이르지 못한 임준영이었으나, 2R 시작 직후, 타격을 걸어오던 이기광의 복부에 재차 무릎을 꽂아 넣었고 이기광은 이번엔 카운트 종료까지 일어나지 못했다.   

임준수의 스파링파트너이자 155kg의 베테랑 김창희는 베테랑다운 완숙한 테크닉과 파워로 단체 데뷔전에서 KO승을 챙겼다. 상대인 대구 SF 팀의 이용섭이 로우킥 실수로 다리부상을 입었다고는 하나, 김은 더킹과 위빙, 숄더블럭 등의 고급 복싱기술과 체중으로부터오는 묵직한 훅, 빰클린치 니 킥 등으로 경기를 풀어나가던 김창희는 3R 바디샷 난사 등으로 2차례의 다운을 만들었고, 플라잉 니킥으로 마지막 다운을 획득. 컨텐더 리그의 메인을 장식했다. 

'인천좀비' 강범준은 별명다운 터프한 싸움 끝에 상대방 세컨으로부터 타월을 받아냈다. 서울 티 클럽의 양지우와 격돌한 강범준은 첫 라운드에서만 두 차례의 다운을 성공시켰다. 2R 클린치와 거리 싸움으로 전법을 바꾼 양에게 라운드를 내주는 듯 보였던 강범준이었으나, 안면을 대주며 맞받아치는 좀비스러운 타격 러쉬로 또 한번의 스탠딩 다운을 성공, 흐름을 되돌려버렸다. 3R 시작 직후에도 스탠딩 다운을 허용한 양지우 측의 세컨이 타월을 투척, 경기를 포기했다.  

'K-MAX' 노재길의 제자 고우용이 두 번의 펀치에 의한 TKO로 커리어 6번째 승리를 챙겼다. 균형잡힌 무에타이 스탠스에서 나오는 균형잡힌 공격을 자랑하는 상대 황태용에 비해 동작이 커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던 고우용이었으나, 두번째 라운드부터 압박으로 스태미너가 급격히 떨어진 황을 코너로 몬 후, 훅으로 다운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고가 겨우 일어난 황에게 훅으로 재차 스탠딩 다운을 안겼다. 카운터 전에 황이 파이팅 포즈에 실패, 고의 승리가 확정됐다.  

[MAX FC 04 in 익산 'Show me the MAX' 결과]


<메인 매치>

08경기: 임준수 < 권장원 (TKO 1R 5:00) * 닥터스탑   

07경기: 박만훈 < 뎃분종 페어텍스 (판정 0-5

06경기: 김상재 > 김동성 (KO 2R 2:45) * -55kg 초대 챔피언 결정 4강 토너먼트 1회전

05경기: 윤덕재 > 후지와라 아라시 (판정 5-0) * -55kg 초대 챔피언 결정 4강 토너먼트 1회전  

04경기: 전슬기 > 오경미 (판정 5-0* -52kg 女 초대 챔피언 결정 4강 토너먼트 1회전 

03경기: 김효선 > 장현지 (판정 4-1) * -52kg 女 초대 챔피언 결정 4강 토너먼트 1회전

02경기: 임준영 > 이기광 (KO 2R 0:11

01경기: 심준보 > 김대호 (판정 5-0


<컨텐더 리그 4>

09경기: 김창희 > 이용섭 (KO 3R 2:28)  

08경기: 조경제 > 박준오 (판정 4-1

07경기: 송하원 < 이상원 (판정 2-3)

06경기: 강윤성 > 송용환 (판정 3-2)   

05경기: 강범준 > 양지우 (KO 3R 0:41) * 타월투척

04경기: 황태원 < 고우용 (TKO 2R 2:23)

03경기: 한진우 > 고수성 (판정 5-0

02경기: 김수훈 < 최석희 (판정 0-5)

01경기: 박유진 < 윤현빈 (판정 5-0) * 오프닝 퓨처 파이트 


* 사진제공 = KOREAN MMA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Bellator MMA 157 'Dynamite 2' 의 공식 포스터 ⓒBellKator Sports WorldWide LLC]

북미 2위 MMA 단체 벨라토어의 157번째 넘버링 이벤트이자 킥복싱 매치를 결합한 브랜드인 Dynamite의 2번째 대회인 Bellator MMA 157' Dynamite 2' 가 한국시각으로 25일, 개최지인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현지시각으로 24일 개최됐다.  

쿠메 다카스케의 팀 메이트 히사키 카토는 킥복싱에서도 KO승을 챙겼다. 벨라토어(MMA) 데뷔 전에서 베테랑 킥복서 조 쉴링을 수퍼맨 펀치 단발로 KO시켰던 카토는 킥복싱으로 무대를 옮긴 쉴링과의 2차전에서 어퍼컷, 훅 등을 맞으면서도 계속 들어오는 쉴링의 타격을 견뎌내며 기회를 보았다. 빰 클린치 니 킥으로 재미를 보던 쉴링의 빰 클린치를 양 훅으로 풀어낸 카토는 곧바로 레프트 백 스핀 블로우로 쉴링의 두부를 강타, 전투불능으로 만들어버렸다. 

2년만에 벨라토어 복귀 전에 나선 퀸튼 '램페이지' 잭슨은 스플릿 판정으로 진땀 승리를 거뒀다. 금메달리스트 출신 유도가 이시이 사토시와 마주한 램페이지는 클린치 후 유도식 테이크 다운으로 1라운드에 두 차례, 2라운드에도 한 차례 테이크 다운을 당하는 등 고전했으나. 허나 2라운드부터 니 킥과 엘보 등 더티 복싱으로 반격에 나섰던 램페이지는 3R, 이시이에 카운터 테이크 다운을 성공, 가드 안에서 활발한 퍼윤당으로 팽팽했던 승부의 승자가 됐다. 

이날 유일의 타이틀 전이었던 MMA 라이트급 타이틀 전에서는 전 챔프 마이클 챈들러가 원 펀치 KO로 벨트를 다시 허리에 감았다. 5년전 판정으로 꺾었던 파트리키 페레이라와 공석인 챔피언 결정전에 나선 챈들러는 가벼운 레프트 잽 페인트 후 곧바로 이어진 라이트 스트레이트를 페레이라의 턱에 꽂아 넣는데 성공했고, 턱이 크게 흔들린 페레이라는 실신, 쓰러져 버렸다. 2013년 11월 에디 알바레즈에게 벨트를 빼앗긴 이래 31개월 만의 벨트 탈환이었다.  

2연패 이후 벨라토어로 무대를 옮긴 TUF 10 출신 UFC 리거 맷 미트리언은 파운딩 역전 KO로 단체 첫 승을 장식했다. 승률의 90%가 KO승일 정도의 하드펀처 칼 세우마누타파에게 오버핸드 라이트를 허용, 데미지를 입은 뒤 그라운드로 빨려들어갔으나, 타이트한 방어로 상대의 파운딩을 견뎌냈다. 상대가 백으로 가기 위해 움직이는 틈을 놓치지 않은 미트리언은 상대를 떨궈 상위 포지션을 얻고 파운딩 러쉬를 개시, 사이드에서 파운딩으로 상대를 실신시켰다. 

로드FC에서 활약했던 사토 쇼코의 팀 메이트로 전 킹 오브 판크라시트 코바야시 이사오는 단체 2연패를 기록했다. TUF 15 출신의 저스틴 로렌스와 맞붙은 이사오는 한 수 위의 파위를 가진 상대의 타격에 눈이 붓는 등 타격에서도 밀린데다, 클린치 후 테이크 다운 등도 좀처럼 여의치 않아 장기인 압박전술을 펼치지 못해 끌려다녀야 했다. 결국 펀치를 날리다 로렌스의 빠른 레프트 라이트 훅 컴비네이션에 클린히트, 다운 후 파운딩으로 또 한 차례의 고배를 마셨다. 

[Bellator MMA 157 'Dynamite' 결과]

22경기: 애쉴리 커밍스 > 니콜 스미스 (니 초크 1R 2:33) * 킥복싱

21경기: 케이티 콜린스 > 미셸 로이어  (암 바 1R 0:48) * 58.9kg 계약

20경기: 드웨인 딕스 > 제이슨 크리스텐슨 (리어네이키드 초크 N/A)  

19경기: 바이런 스티븐스 > 리 번즈 (TKO 2R 2:46

18경기: 케리 앤 테일러-멜렌데즈 > 사라 하울 (판정 3-0) * 킥복싱

17경기: 레이븐 대니얼스 > 스테파노 브루노  (KO 1R 1:45) * 킥복싱

16경기: 히사키 카토 > 조 쉴링 (KO 2R 2:59) * 킥복싱 

15경기: 퀸튼 '램페이지' 잭슨 > 이시이 사토시 (판정 2-1) * 102kg 계약

14경기: 마이크 챈들러 > 파트리키 페레이라 (KO 1R 2:14) * MMA 라이트급 타이틀 전  

13경기: 케빈 로스 > 저스틴 하우턴 (판정 3-0) 

12경기: 일리마 레이-맥팔레인 > 레베카 루스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2:35

11경기: 글로리아 페리토레 > 드니즈 키홀츠 (판정 3-0) * 킥복싱 

10경기: 맷 미트리언 > 칼 세우마누타파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2:28) 

09경기: 케빈 앵글 < 체일 어윈-데이비스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1:19)

08경기: 브래드 존스 > 타일러 클라우센 (KO 1R 0:26)  

07경기: 요아킨 버클리 > 크리스 허틀리 (KO 2R 4:14)  

06경기: 에밀 클로스만 < 대릴 콥 (TKO 2R 2:28) * 킥복싱   

05경기: 타라 워커 > 미미 쿠친 (판정 3-0) * 킥복싱   

04경기: 길헤르미 바스콘셀로스 > 조던 도우디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4:59)

03경기: 저스틴 로렌스 > 코바야시 'ISAO' 이사오  (KO 2R 2:11)

02경기: 저스틴 로빈스 < 맷 머피 (TKO 2R 2:16) * 닥터스탑 

01경기: 라샤드 러브레이스 > 개럿 뮬러 (TKO 2R 5:00) * 닥터스탑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 Fight Night 89 의 공식 포스터]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대형 MMA 단체 UFC의 삼백예순번째 이벤트이자 서브 이벤트 Fight Night의 89번째 대회인 UFC Fight Night 89 'Macdonald vs Thompson' 이 한국 시각으로 19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 현지 시각으로 18일 개최되었다.

[타격을 교환하는 로리 맥도널드와 스티븐 탐슨]

웰터급 1위 로리 맥도널드와 2위 스티븐 탐슨 간의 메인이벤트에서는 거리 조절에서 우세를 차지한 탐슨이 판정승리로 차기 타이틀 전에 유력한 도전자로 떠올랐다.. 팽팽한 앞 선 두 라운드를 보낸 후, 3R부터 맥도널드가 거리를 좁혀가며 공격을 서둘렀으나, 기껏 맥도널드가 한 방을 맞추면 탐슨이 사각으로 빠지면서 카운터로 되돌려 주는 장면이 반복됐다. 맥도널드가 공격의 피치를 올려봤으나, 펀치에 코가 부러지고 역 테이크 다운을 당하는 승부를 뒤집는데 실패했다.

Embed from Getty Images

[패트릭 코테를 미들킥으로 걷어차는 도널드 세로니]

웰터급 두 번째 경기에 나선 올라운더 도널드 세로니는 원사이드 게임 끝에 베테랑 페트릭 코테에 첫 KO패배를 안겨주었다. 첫 라운드 세로니는 수를 읽는 듯한 두 차례의 카운터 테이크 다운으로 일찌감치 경기를 리드했다. 사각에서 뻗어내는 스피디한 타격으로 연타 게임에서 레프트로 2차례의 다운을 만든 세로니는,  결국 라이트에 이어진 하프 빰 클린치로 잡은 숏 라이트를 두 차례 성공, 데미지를 입고 누은 코테에 파운딩을 퍼부어 승리를 가져갔다. 

[출혈로 피투성이가 된 숀 오코넬이 스티브 보세에게 펀치 공격을 가하고 있다]

스티브 보세는 만만찮은 난타전 끝에 판정승으로 UFC 두 번째 승리를 거뒀다. 제레미 혼의 제자인 숀 오코넬에게 난타전을 걸었다 다운을 빼앗겨 1R을 내준 보세는 전진후진을 섞은 타격으로 전환, 전 라운드의 데미지가 남아있던 오코넬을 다운시키고 파운딩으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3R에서도 적잖은 데미지를 입고도 계속 걸어들어오는 상대에 꾸준히 타격을 성공, 히트율에 우위를 유지해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을 챙겼다. 격렬한 난타전으로 보너스가 유력했던 일전.

[락을 곁들인 백 마운트로 티볼트 구띠를 괴롭히는 올리비에 오반 머시에]

TUF 네이션즈 캐나다 vs 오스트레일리아의 토너먼트 파이널리스트 올리비에 오반 머시에는 서브미션 한 판승으로 자국 무대에서의 승리를 추가했다. 佛 라이트급 강호 티볼트 구띠의 만만치 않은 타격과 반격 파운딩에 적잖은 데미지를 받았던 머시에는 테이크 다운 후 가드 내에서의 압박으로 승기를 잡기 시작했다. 종료 4분 전 장기인 레그 바디 락을 곁들인 백 마운트를 만든 머시에이는 뒤에서 파운딩 연사 중 초크 그립을 완성, 탭아웃승을 거뒀다. 

[발레리 루트르노의 안면에 포어암 엘보 공격을 시도하는 조안 칼더우드]

UFC 여자 플라이급 첫 번째 경기에서는 함서희의 UFC 데뷔 전 상대인 스코틀랜드의 킥복서 조안 칼더우드가 TKO로 첫 번째 승자가 되었다. 일순 그로기를 만든 기습적인 백스핀 블로우를 시작으로 스트로급 타이틀 챌린저 발레리 루트르노에 우세를 만든 칼더우드는 상대의 타격에 굴하지 않고 계속 전진, 압박을 계속했다. 두둘겨 오던 복부에 프런트킥을 재차 얻어맞은 루트르노가 등을 보이며 물러나자 펀치와 또 한번의 백 스핀 블로우로 다운, TKO승리를 굳혔다. 

[이언 쿠탈라바의 안면에 수퍼맨 펀치를 성공시킨 미샤 설커노프]

캐나다에서 활동중인 라트비안 파이터 미샤 설커노프는 암트라이앵글 초크로 단체 3연승, 통합 8연승을 이어갔다. 한판 패배를 허용한 적이 없는 몰도바의 삼비스트 이언 쿠텔라바에 레프트 중심의 적잖은 클린히트를 만들었으나 강한 턱을 가진 상대는 좀처럼 데미지를 입은 내색을 하지 않았다. 허나 마지막 라운드 수퍼맨 펀치 히트로 클린치, 테이크 다운을 성공시킨 설커노프는 사이드에서 왼팔로 목을 감고 사이드로 이동, 암 트라이앵글 초크를 굳혀 즉시 탭을 이끌어냈다. 

[탐댄 맥글로리에 카운터 레프트 훅을 성공시키는 크리조프 조코]

폴란드의 미들급 리거 크리조프 조코는 단체 데뷔 후 첫 초살, 첫 KO 승을 거뒀다. 장신의 탐댄 맥글로리와 만난 조코는 오른 손 패링으로 거리를 좁혀오는 맥글로리의 품안으로 살짝 전진하며 레프트 오버 언더 훅을 히트, 실신시키는데 성공했다. 쓰러져가는 상대의 안면을 숏 라이트로 한번 더 걷어 데미지를 추가했던 준 조코는 쓰러진 맥글로리에 파운딩을 퍼부어 승리를 확정지었다. 

[조 소토에 어퍼컷을 명중시키는 크리스 비엘]

키드 대신 3주만에 급격한 오퍼를 받아들였던 밴텀급 타이틀 챌린저 조 소토는 쉽지 않았던 스탱딘 게임 끝에 서브미션으로 승리를 이끌어냈다. 최근 2연패를 기록 중이지만 거리 조절 능력이 특출난 크리스 비엘의 복싱에 좀처럼 승리를 확신 할 수 없었던 소토였으나, 3라운드 중반 잽 페인트 테이크 다운 백을 잡아 캔버스로 끌어들인 뒤 탑 마운트를 타는데 성공했다. 안면 파운딩으로 등을 노출시킨 소토가 초크를 시도했고, 견디다 못한 비엘이 탭으로 항복의사를 표했다. 

[조나단 무니에를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조이는 콜비 허빙턴]

미국의 엘리트 레슬러와 캐나다의 엘리트 킥복서 간의 대전에서는 미국의 콜비 코빙턴이 진득한 레슬링에 이은 한 방 타격으로 승리를 챙겼다. 일찌감치 클린치로 장신의 킥복서인 조나단 무니에를 캔버스에 묶어둔 코빙턴은 2R까지 끈질기게 그래플링 압박을 전개했다. 3R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스피닝 백 피스트로 무니에를 다운시킨 코빙턴은 백까지 빼앗은 후 타이트한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UFC Fight Night 89 'Macdonald vs Thompson' 결과]

13경기: 로리 맥도널드 < 스티븐 탐슨 (판정 0-3)

12경기: 도널드 세로니 > 패트릭 코테  (TKO 3R 2:35)

11경기: 스티브 보세 > 션 오코넬 (판정 3-0)

10경기: 올리비에 오반 머시에 > 티볼트 구띠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2:28) 

09경기: 발레리 르투르노 < 조안 칼더우드 (TKO 3R 2:51)

08경기: 제이슨 사고 > 레안드로 시우바 (판정 2-1)  

07경기: 미샤 설커노프 > 이언 쿠텔라바 (암 트라이앵글 초크 3R 1:22)  

06경기: 탐댄 맥글로리 < 크리조프 조코 (TKO 1R 0:59)  

05경기: 조 소토 > 크리스 비엘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3:39)  

04경기: 엘리어스 테어도르 > 샘 알베이 (판정 3-0)

03경기: 란다 마르코스 > 조슬린 존스-라이바거 (판정 3-0)

02경기: 조나단 무니에 < 콜비 코빙턴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0:54

01경기: 알리 바가우티노프 > 지안 헤레라 (판정 3-0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Bellator MMA 156 의 공식 포스터 ⓒBellator Sports WorldWide LLC]

북미의 중견 MMA 단체 Bellator MMA의 일백쉰일곱번째 이벤트인 Bellator MMA 156 'Galvao vs Dantas' 가 한국시각으로 17일, 개최지인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스노 현지 시각으로 17일 개최되었다. 

40개월만에 치러진 두 파이터 간의 2차전이자 밴텀급 타이틀 전에서는 도전자 겸 전 챔피언 에두아르두 단타스가 스피디한 타격을 앞세워 20여개월만의 밸트 탈환에 성공했다. 챔피언 시절 꺾은 바 있는 현 챔프 마르코스 갈벙에게 도전한 단타스는 잽으로 갈벙의 오른쪽 눈두덩을 크게 붓게 만들고 코에서 출혈을 내는 등 빠른 타격으로 갈벙을 경기 내내 압도했다.  탑 클래스 주지떼로인 단타스가 몇 차례 태클을 시도해 보았으나, 단타스의 방어에 전부 무위로 돌아갔다. 단타스의 원사이드 게임. 

TPF 타이틀 획득 직후 이적해 온 킥복서 치디 은조쿠아니는 TKO로 데뷔 전을 장식했다.  핏불 형제의 팀메이트 티아구 콘칼베스의 클린치와 파워풀한 타격에 클린치 쪽에 묶이며 2R 중반까지 센터를 내주고 있던 은조쿠아니는 스트레이트로 상대를 뒷걸음치게 만드는 등, 자신의 리듬을 되찾았다. 타격에서 밀리기 시작한 콘칼베스가 노골적인 클린치와 TD 전법을 시도했지만, 페인트 미들킥으로 콘칼베스를 누인 은조쿠아니가 파운딩으로 상대를 실신, 경기를 종료시켰다. 

전 미들급 타이틀 홀더 브랜던 헐시는 서브미션으로 첫 라운드 승리를 기록했다. UFC 출신의 존 숄터와 만난 헐시는 자세를 급격히 낮춰 바디에 펀치를 집어넣으려던 상대의 안면을 킥으로 걷어차 일찌감치 큰 컷을 만들어주며 승기를 잡았다. 또 한번 같은 상황에서 안면을 걷어차인 숄터가 싱글 렉을 성공시켰으나, 헐시가 하위 포지션에서 트라이 앵글 초크 그립을 잡는데 성공, 사이드로 탈출을 감행하던 숄터를 조여 탭을 받아냈다. 

[Bellator MMA 156 'Galvao vs Dantas 2']

13경기: 저메인 맥더모트 > 블레이크 왓킨스 (TKO 1R 0:20)  

12경기: 폴 루이즈 > 크리스천 버론 (판정 2-1)

11경기: 제이비 아얄라 > 로이 보우턴 (TKO 1R 3:02)

10경기: 닉 부스타만테 > 앤터니 스미스 (판정 2-0

09경기: 존 폴 엘리어스 < 조이 카베자스 (KO 1R 0:25

08경기: 크리스 루이스 > 마이런 스미스 (TKO 1R 4:48)

07경기: 루이즈 하루기 > 랜디 토바 (판정 3-0

06경기: 마르코스 갈벙 < 에두아르두 단타스 (판정 0-3) * 밴텀급 타이틀 전

05경기: 치디 은조쿠아니 > 티아구 '잠보' 곤칼베스 (TKO 3R 2:39

04경기: 존 숄터 > 브랜던 허슬리 (판정 3-0) * 미들급 타이틀 전 

03경기: 크리스 허니컷 > 미켈 파를로 (판정 3-0

02경기: 에이제이 매튜스 < 밴 레이터 (판정 3-0)

01경기: 씨제이 키이스 < 캐링턴 뱅크스 (판정 3-0)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WSOF 31의 공식 포스터 ⓒCaesars Entetainment]

WSOF의 서른 일곱번째 이벤트이자 31번째 넘버링 이벤트인 WSOF 31 'Ivanov vs Copeland' 가 한국시각으로 18일, 개최지인 미국 코네티컷 주 마상투컷 현지 시각으로 17일 개최되었다. 

삼보에서 표도르를 잡아낸 바 있는 헤비급 타이틀 홀더 블라고이 이바노프는 판정승으로 벨트를 지켰지만, 여전히 타격에서의 숙제를 남겼다. 전 UFC 리거 조쉬 코프랜드를 상대로 헤비급 2차 방어전에 나선 이바노프는 복싱 중심의 타격으로 앞선 두 라운드를 가져갔으나, 오른 쪽 앞 이마가 찢어져 큰 출혈이 발생, 경기내내 시달려야 했다. 출혈에 스태미너 저하까지 겹쳐 맞춘다기 보다 얹힌다는 느낌의 타격으로 지리멸려한 경기를 이끌어가던 이바노프는 3라운드 막바지 공격을 펼쳐오는 코프랜드를 유도 던지기로 테이크 다운, 판정승의 기틀을 다졌다. 

레슬링 베이스의 베테랑 제이슨 하이는 TUF 16 출신의 마이크 리치에 단발 펀치로 역전승을 거뒀다.  장기인 레슬링을 앞세운 하이는 파워풀한 테이크 다운으로 경기를 리드.  첫 라운드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으나, 두번째 라운드서 테이크 다운을 들어가다 얻어맞은 숏 훅에 코에 데미지를 입은 뒤부터 밀리기 시작했다. 펀치 거리에서 큰 우위를 지닌 상대의 타격에 속수무책인데다 코의 부상으로 태클 파워와 스피드마저 떨어진 하이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허나 리치의 프런트 킥에 카운터 레프트 훅을 클린 성공시킨 하이는 비틀거리는 리치를 추적했고, 반사적으로 다리를 잡고 버티는 리치의 안면에 파운딩을 쉬지 않고 떨궈 역정승리를 만들어냈다. 

UFC에서 활동해 오던 35전의 베테랑 존 하워드는 심판 전원일치 판정승으로 WSOF 데뷔 전에서 승리를 거뒀다. 커투어의 제자 마이크 애런과 단체 첫 승 경합을 벌이게 된 하워드는 스파링을 하는 듯한 능글능글한 상대의 타격에 클린 샷을 쉽게 내지 못하는가 하면 상대의 킥 캐치 후 걷어 올리기에 나동그라지기도 했으나, 펀치 러쉬로 단숨에 거리를 좁혀 훅으로 한 차례 플래쉬 다운을 만들어 내는가 하면, 묵직한 양 훅 러쉬를 감행, 상대를 압박해댔다. 마지막인 3라운드에서는 태클 후 백으로 돌아가 저먼 스플랙스를 연상시키는 근사한 백 스플랙스로 판정승리를 완성할 수 있었다. 

셰이먼 다 시우바 모라에스는 장기인 빠른 킥을 앞세워 판정승리를 챙겼다. 한 차례 타이틀에 도전한 바 있는 전직 XFC 챔프 루이즈 팔레미노와 맞붙은 모라에스는 초반 상대의 거친 훅에 밀리는 듯 했으나. 이에 밀리지 않는 훅과 빠른 킥, 특 히 팔레미노의 목덜미를 쉬지 않고 노리는 하이킥을 중심으로, 압박을 이어갔다. 마지막 3R 점수에서 크게 밀린 팔레미노가 한 차례의 테이크 다운 성공과 막판 펀치 러쉬를 감행했으나. 모라에스가 이를 흘려버리고 승리를 확정지었다. 

[WSOF 31 Ivanov vs Copeland]

10경기: 블라고이 이바노프 > 조쉬 코프랜드 (판정 3-0) * 헤비급 타이틀 전 

09경기: 제이슨 하이 > 마이크 리치 (TKO 2R 4:08)  

08경기: 존 하워드 > 마이크 애런 (판정 3-0

07경기: 루이스 팔라미노 < 셰이몬 다 시우바 모라에스 (판정 0-3)  

06경기: 필립 호스 > 조슈아 키 (TKO 1R 2:52)

05경기: 탐 마르셀리노 < 데븐 파웰 (판정 1-2)

04경기: 쥴리아노 코티노 < 저스틴 윌리스 (TKO 2R 0:30)

03경기: 로렌조 후드 < 타일러 킹 (길로틴 초크 3R 4:20

02경기: 사울 알메이다 < 브루스 보잉턴 (판정 1-2)

01경기: 마커스 서린 > 크리스천 토레스 (TKO 2R 2:51)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199의 공식 포스터 ⓒZuffa LLC]


'마에스트로' 김동현이 첫 승 달성에 실패했다. 


지난 해 11월, 보결 선수로 자신의 체급이 아닌 -77kg 급으로 단체에 데뷔했던 김동현은 5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잉글우드에서 개최된 UFC의 359번째 이벤트인 UFC 199에 출전, TUF 라틴 아메리카 시즌 2의 캐스트 멤버인 멕시칸 복서, 마르코 폴로 레예스를 상대로 -70kg급 첫 경기에 나섰으나, 살을 내주고 뼈를 내주는 격렬한 난타전 끝에 3R를 넘기지 못하고 무릎을 꿇었다. 

[마르코 폴로 레예스의 안면에 카운터 훅을 맞추는 김동현]

경기 초반부터 레예스와 동시에 카운터를 주고 받으며 타격전을 시작한 김동현은 크로스 카운터의 레프트 훅으로 상대인 레이스를 먼저 스턴 상태로 몰아넣았으나 
클린치에서의 포어암 엘보 단발에 다운 되었다. 상대의 라이트에 재차 다운 당한데다, 타격 히트 수에서 밀렸지만, 허리를 잡고 테이크 다운을 성공시키는 등 핑퐁게임으로 첫 라운드를 마감했다. 

두 번째 라운드에서도 라이트로 상대를 뒷걸음치게 만들었던 김동현이었으나, 또 한 차례의 레프트에 의한 스턴에도 불구, 레예스가 쉴새 없이 뻗어내는 타격에 안면을 허용해 적잖은 데미지를 입었다. 상대의 집중포화의 안면을 내주다 끈질긴 테이크 다운으로 상대의 예봉을 피할 수 있었으나, 종료 20여 초 전에는 무리한 테이크 다운으로 상위 포지션을 내주고 파운딩을 내주었다. 

승부는 3라운드에서 났다. 2분 정도 경과시 가볍게 레프트의 잽과 훅을 피해낸 김동현의 안면에 레예스의 라이트 훅이 꽂혔고. 다리가 풀린 김동현이 스탠딩을 서두르다 일순 한 손으로 캔버스를 짚는 실수를 범했다. 이를 놓치지 않은 레예스가 재차 김의 안면을 라이트로 갈겼고, 넘어지면서 후두부를 찧은 김동현이 파운딩을 얻어맞자, 레프리 마이크 벨트런이 난입해 경기를 끝냈다. 

[기절한 루크 락홀드에 파운딩을 가하는 마이클 비스핑을 떼어 놓는 레프리 '빅' 존 메카시]

미들급 타이틀 전에서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마이클 비스핑이 1R KO승으로 영국인 최초의 UFC 타이틀 홀더가 됐다. 크리스 와이드먼의 부상으로 2주만에 오퍼를 허락, 10년 만에 타이틀 전 기회를 잡아낸 비스핑은 깊숙히 스트레이트를 뻗었다 옆으로 비스듬히 후퇴하는 챔피언 루크 락홀드를 추적, 레프트 훅으로 다운시켰다. 자신을 밀어내려 가드 대신 양 손을 뻗은 락홀드의 안면에 비스핑은 재차 레프트 훅을 터뜨려 상대를 주저 앉혔고, 레프트 라이트 레프트 훅을 퍼부어 승부에 종지부를 찍었다.    

[도미닉 크루즈의 안면을 스트레이트로 공략하는 유라이어 페이버]

도전자 유라이어 페이버와 챔피언 도미닉 크루즈 간의 두 번째 밴텀급 타이틀 전이자 두 파이터 간의 3차전에서는 페이버가 레슬링으로 챔프 크루즈의 스태미너를 상당히 소모시켰으나, 페인트를 잔뜩 곁들이는 특유의 스탭을 활용한 크루즈가 펀치로 다운을 여러차례 만들어 내며 페이버를 일방적으로 농락했다. 마지막 라운드에선 스탭을 섞은 크루즈가 테이크 다운을 노려보았으나, 페이버의 저항에 한 판승에는 이르지 못했다.  

[드래곤 슬리퍼로 히카르도 라마스를 압박하는 맥스 할로웨이]

8연승의 맥스 할로웨이는 체급 5위의 강호 히카르도 라마스를 타격의 우위를 앞세워 판정으로 격파했다. 인앤아웃의 타격과 압박으로 거리를 지배하던 할로웨이는 탄탄한 테이크 다운 방어능력으로 첫 라운드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카운터를 몇 차례 허용하긴 했으나. 카운터 서브미션으로 2R 마저챙긴 할로웨이는 타격 피치를 높일려는 라마스의 타격을 카운터로 끊어주며 흐름을 넘기지 않았다. 종료 직전에는 발 붙이고 치자는 자신을 사인을 받아들인 상대와 펀치 난타전으로 명승부를 연출했다. 

[헥터 롬바드에게 하이킥을 집어넣고 있는 댄 핸더슨]

선수생활의 얼마 남지 않은 47세의 베테랑 댄 핸더슨은 역전 KO승을 거두며 베테랑의 위용을 과시했다. 1R 라이트 성공 후 서둘러 들어가다 벨라토어 웰터급 챔프 헥터 롬바드의 양 훅 카운터를 얻어맞고 하위 포지션으로 끌려간 핸더슨은 상대의 추격타에 적잖은 데미지를 입었다. 2R 시작 직전까지도 데미지 회복이 완전치 않아보였던 핸더슨이었으나, 자신이 찬 라이트 하이킥을 캐치, 다리를 잡고 있던 롬바드의 관자돌이를 돌려치는 백엘보로 클린히트. 전투불능으로 만들어버렸다. 

[손으로 목을 눌러 케이지 쪽에 바비 그린을 압박하는 더스틴 포이리에]

정찬성의 전 상대 더스틴 포이리에는 상대의 도발로 잡은 기회를 KO로 연결, 라이트급 복귀 후 4연승을 이어갔다. 1R, 포이리에는 스탠딩 타격을 나누다, 가드를 열고 더 처보라는 식의 도발을 감행힌 KOTC 챔프 바비 그린을 안면에 라이트 한 발을 섞은 레프트 연사로 다운시켜 찬스를 잡았다. 일어난 후 자신이 만든 로우블로우에 사과를 할 정도로 데미지가 회복하는 듯 했던 그린이었으나, 크게 헛 쳐 등을 보이던 포이리에가 라이트에 이은 레프트로 귓 뒷부분을 쳐 또 다시 다운, 파운딩으로 승부를 마무리했다. 

[종료직전, 브라이언 오르테가의 니 킥을 안면에 허용하고 쓰러진 클레이 구이다]

뛰어난 스테미너의 레슬러 클레이 구이다와 맞붙은 11전 무패의 강호 브라이언 오르테가는 3R 종료 직전 KO로 슬로우 스타터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펀치 타격으로 압박을 거는 구이다에게 첫 라운드를 내준 오르테가는 전진과 압박을 반복하는 타격전으로 차츰 흐름을 바꾸기 시작했다. 어퍼컷 중심의 타격으로 히트수를 올려가던 오르테가는 종료 40여 초전부터 양손과 플라잉 니 킥으로 피치를 올리다 종료 20여 초전 왼손에 밀린 구이다가 고개를 숙인 것을 니 킥으로 걷어올려 다운, 역전승리를 챙겼다.      

[라이트로 제임스 빅의 안면을 히트시키는 벤닐 다리우쉬]

지난 경기에서 패하며 6연승을 저지당했던 라이트급 탑 10 랭커 벤닐 다리우쉬는 단체 첫 KO승을 거두는 저력을 과시했다. 긴 신장을 가진기대주 제임스 빅을 상대로 왼발의 미들킥과 왼 펀치를 들고 나왔던 다리우쉬는 1R 중반 와이드 레프트 훅으로 상대를 다운, 추격타로 흐름을 잡아냈다. 겨우 탈출한 빅의 다리를 와이드 레프트로 다시 풀어버린 다리우쉬는 클린치로 빅을 몰아넣은 후 클린치에서 니 킥 후 또 한번의 레프트 훅으로 빅을 실신시켰다. 

[제시카 안드라데의 펀치의 우그러진 제시카 펜네의 안면]

제시카 안드라데는 마치 숨을 쉬지 않는 듯한 무시무시한 펀치 연사로 스트로급 첫 승을 일궈냈다. 
인빅타 FC 아톰급 챔프이자 UFC 스트로급 타이틀 도전자인 제시카 펜네와 맞붙은 안드라데는 양 훅 중심의 펀치 연사로 일방적인 원사이드 게임을 펼쳤다. 안드라데가 스탭을 살린 스트레이드와 잽의 펀치와 프런트 킥, 빰 클린치 니 킥으로 흐름을 바꿔 보려했으나, 안드라데가 이를 용서치 않았고, 결국 몰림을 반복하다 선채로 샌드백이 된 펜네를 보다못한 레프리 제이슨 허족이 경기를 종료시켰다.
 
[그라운드에서 파운딩 공방을 벌이고 있는 루이즈 헨리케 다 시우바(上)와 조나단 윌슨] 

라이트 헤비급 무패의 신인 간의 일전에서는 루이즈 헨리케 다 시우바가 11승 무패 기록을 이어갔다. 윌슨의 타격에 초반 밀리는 듯 했던 시우바는 걸어들어가 빰 클린치의 니 킥과 미들킥 등으로 상대를 압박해나갔다. 시우바는 2R, 어퍼와 레프트 연사 훅에 다리가 풀리고 다운까지 내줬으나, 상위 포지션에 있던 윌슨에게 
스윕을 성공, 풀 마운트를 만들어냈다. 파운딩으로 몸을 비틀던 윌슨을 묶은 시우바는 오른 무릎과 왼 손으로 상대의 양손을 봉쇄, 남은 오른 손으로 핀 포인트 파운딩을 연사, 승리를 가져갔다.   

[UFC 199 'Rockhold vs Bisping' 결과]

13경기: 루크 락홀드 < 마이클 비스핑 (KO 1R 3:36) * 미들급 타이틀 전

12경기: 도미닉 크루즈 > 유라이어 페이버  (판정 3-0) * 밴텀급 터이틀 전

11경기: 맥스 할로웨이 > 히카르도 라마스 (판정 3-0)

10경기: 댄 핸더슨 > 핵터 롬바드 (KO 2R 1:27) 

09경기: 더스틴 포이리에 > 바비 그린 (TKO 1R 2:53)

08경기: 클레이 구이다 < 브라이언 오르테가 (KO 3R 4:40)  

07경기: 밴닐 다리우쉬 > 제임스 빅 (KO 1R 4:16)  

06경기: 제시카 펜네 < 제시카 안드라데 (TKO 2R 2:56)  

05경기: 콜 밀러 > 알렉스 '브루스 리 로이' 카사레스 (판정 2-1)  

04경기: 션 스트릭랜드 > 탐 브리즈 (판정 2-1)

03경기: 조나단 윌슨 < 루이즈 헨리케 다 시우바 (TKO 2R 3:02)

02경기: 케빈 케이시 = 엘비스 무탑칙 (판정 1-2

01경기: 김동현 > 마르코 폴로 레예스 (TKO 3R 1:52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제3회 쿠도 전한국 선수권대회의 포스터  제공=대도숙 코리아]

대도숙 쿠도(空道)의 세번째 전(全) 한국 선수권이 대구서 개최된다. 

쿠도를 주관하는 대도숙(大道塾, 다이도쥬쿠) 한국본부 측은 오는 6월 5일 대구 두류공원 안병근 올림픽 기념 유도관에서 제3회 대도숙 쿠도 전한국 선수권의 개최를 발표했다. 

5일 11시부터 개최되는 이번 대회에는 2회 전한국 선수권 우승자 겸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한 바 있는 김휘규가 출전할 예정. 프로 종합격투가와 브라질리언 유술가로도 이름이 나있는 그의 대회 2연패 가능여부가 이번 대회의 최대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대도숙 쿠도는 극진 공수도의 창시자 최배달의 애제자로, 극진 공수도 전일본 우승을 달성했던 아즈마 다카시 숙장(熟長)에 의해 1981년 창시된 무술이다. 극진 공수도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안면 타격을 허용치 않는 공수도와 달리 관절기와 던지기는 물론, 타 격기에서 보기 힘든 박치기나 상황에 따라 금적공격까지 허용하기도 한다.

가라데 등 도복 착용이 의무화 되어 있어 '옷을 입고 하는 종합격투기' 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쿠도는 옷을 착용하고 하는 탓에 실전성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 무술. 독자적으로 안면보호 장구인 '헤드기어 쿠' 를 개발해 사용하는 등 안전성까지 양립시키고 있어 이제 갓 30여년이 지난 비교적 신생 무술이지만  러시아 등 60여개 국에 지부가 생길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도숙 쿠도 한국본부의 임재영 총사범은 이번 대회에 앞서 "3회 째에 접어드는 대회인 만큼 내실을 다지고 앞으로 열릴 세계 대회를 향해 박차를 가할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라며 대회 계최의 포부를 전했다.  

현재 국내에는 부산에 총본부를 겸한 도장이 있으며 서울과 대구에도 수련관이 있다.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 Fight Night 88의 공식포스터 ⓒZuffa LLC]

UFC의 358번째 이벤트 UFC Fight Night 88 'Almeida vs Garbrabdt'가 한국시각으로 30일, 개최지인 미국 라스베가스 현지 시각으로 29일 개최되었다.

[토마스 알메이다(右)와 펀치 공방을 벌이는 코디 가브런트(左)]

밴텀급 무패 파이터 간의 일전에서는 미국의 가브런트가 KO로 압승을 거뒀다. 21전 무패의 브라질리언 토마스 알메이다에 훅으로 일찌감치 승기를 잡은 가브런트는 양 훅과 스트레이트로 알메이다에 데미지를 안겨주며 경기를 리드했다. 결국 라이트에 충격을 입은 상대를 몰아붙인 가브런트는 알메이다가 레프트 카운터를 채 뻗기도 전에 턱에 통렬한 라이트 훅을 다시 안겨주었고, 다운된 상대에게 두 차례의 파운딩 추격타를 더해 원사이드 게임을 완성했다.  

[스트레이트로 헤난 바라오를 공격하는 제레미 스티븐스]

UFC 페더급 첫 경기에 나선 전 밴텀급 타이틀 홀더 헤난 바라오는 파워의 벽을 넘지 못하고 판정패했다. 본래 라이트급이었던 제레미 스티븐스와 만난 바라오는 각적인 타격을 보여주며 첫 라운드를 챙길 수 있었으나 2R, 잽을 시작으로 어퍼컷, 훅 등, 상대의 큰 타격을 좀 먹듯이 계속 허용한 바라오는 각 라운드 당 한 차례씩 테이크 다운을 성공했을 뿐 타격 데미지 면에서 크게 밀리면서 2,3 라운드를 연달아 끌려다녀, 판정패배의 빌미를 제공했다.

[클린치 니 킥으로 알베르투 '우다' 에밀리아누 페레이라의 두부를 공격하는 제이크 콜리어]

브라질의 알베르투 '우다' 에밀리아누 페레이라와 마주한 미들급의 제이크 콜리어는 물 흐르는 듯한 타격 컴비네이션으로 1승을 가겨잤다. 니 킥에 코가 부러져 출혈이 나는 적잖은 데미지를 입었지만, 테이크 다운으로 나쁘지 않은 1R을 보낸 콜리어는 2R 백 스핀 킥등으로 상대를 케이지 쪽으로 몰고 갔다. 페레이라가 몰리자 클린치 니 킥과 숏 엘보, 재차 니 킥에, 어퍼, 훅, 복부에의 백 스핀 킥을 물흐르듯이 연결, 다운시켰고, 파운딩으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쉐인 캠벨의 등에서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건 채로 회전하는 에릭 코흐]

18전의 베테랑 에릭 코흐는 2년여 만의 승리를 맛봤다. 캐나다의 무에타이 강호 쉐인 캠벨과 라이트급 복귀 전 2차전에 나선 코흐는 한 수위의 레슬링으로 상대를 캔버스에 묶어 둔 무난한 첫 라운드를 지나 두 번째 라운드에 돌입했다. 재차 테이크 다운을 성공시킨 코흐는 암 트라이 앵글 초크 등으로 괴롭히며 기회를 엿보았다. 캠벨로부터 백을 차지한 코흐는 상대가 자신을 업은 채로 상체를 들어올리는 것을 놓치지 않고 카운터로 초크 그립을 완성, 탭을 받아냈다.

[펀치 공방을 벌이는 크리스 델 라 로챠(左)와 애덤 밀스테드(右)]

UFC 선배인 크리스 델 라 로차를 상대로 단체 첫 경기에 나선 애덤 밀스테드는 핀포인트 타격으로 첫 승을 거뒀다. 얻어맞으면서도 압박을 거는 강인한 턱과 맷집을 가진 델 라 로차에 뛰어난 테이크 다운 방어와 핀포인트 훅으로 맞섰던 밀스테드는 빰 클린치에서의 엘보와 어퍼컷으로 상대가 백 스탭을 밟게 만들었다. 피투성이가 된 채 밀스테드의 컴비네이션에 펀칭백이 된 델 라 로차를 보다못한 레프리 크리스 토고노니가 뛰어들어 경기를 중지시켰다. 

[UFC Fight Night 'Almeida vs Garbrandt' 결과]

12경기: 토마스 알메이다 < 코디 가브런트 (KO 1R 2:53)

11경기: 헤난 바라오 < 제레미 스티븐스 (판정 0-3)

10경기: 타렉 사파딘 < 릭 스토리 (판정 0-3) 

09경기: 비토 미란다 < 크리스 카모지 (판정 0-3)

08경기: 호르헤 마스비달 < 로렌츠 라킨 (판정 1-2)  

07경기: 조쉬 버크맨 < 폴 펠더 (판정 0-3)  

06경기: 사라 맥맨 > 제시카 아이 (판정 3-0)  

05경기: 아벨 트루히오 > 조던 리날디 (판정 2-1)  

04경기: 제이크 콜리어 > 알베르투 '우다' 에밀리아누 페레이라 (TKO 2R 1:06)

03경기: 에릭 코흐 > 쉐인 캠벨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3:02)

02경기: 알저메인 스털링 < 브라이언 캐러웨이 (판정 1-2

01경기: 크리스 델 라 로차 < 애덤 밀스테드 (TKO 2R 4:01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One Championship 43의 공식 포스터]

교포 크리스천 리가 압도적인 타격으로 파죽의 5연승을 이어갔다.  

7전을 치른 필리피노 록키 바톨바톨과 5번째 경기에 나선 리는 라이트 훅을 내주며 경기를 시작하긴 했으나 하이킥, 미들킥, 로우킥, 부인각 등 특유의 긴 리치의 킥을 뿌려대며 상대 바톨바톨을 쉴새 없이 압박해댔다. 복서인 바톨바톨이 킥 캐치 후 펀치 카운터와 사이드로의 탈출을 시도했으나. 킥에 이어 잔 잽을 뿌려대는 리에게 좀처럼 기회를 잡지 못했다.

카운터를 허용한 바톨바톨이 데미지를 입었다는 것을 눈치 챈 리는 스트레이트와 양 훅 원투 원투 컴비네이션으로 바톨바톨을 몰아붙였고, 급했던 바톨바톨이 자신의 다리를 잡으며 싱글 렉 테이크 다운을 노리는 것을 안면 니 킥으로 뿌리쳐 쳐, 캔버스에 처박았다. 

리가 파운딩 후 업 킥을 시도하는 바톨바톨의 다리를 끌어당겨 상대의 두부에 사커킥을 시도했고, 제차 파운딩으로 밀고들어오는 리의 기세에 눌린 바톨바톨이 스스로 한 손으로 탭을 치며 입으로 스탑을 요청, 경기에서 패했음을 인정했다. 공식 결과는 구두 탭 아웃(Verbal Tap out) 에 의한 패배. 

슈토 플라이급 챔프 나이토 요시타카는 무에타이 레전드 데담롱 소어 암누이시리초케를 꺾고 벨트의 주인이 되었다. 한 수위의 타격은 물론 뛰어난 태클방어 능력까지지닌 상대에 고전을 면치 못했던 요시타카였으나. 질긴 클린치와 테이크 다운 시도로 2R부터 결국엔 한 차례씩 테이크다운을 성공, 라운드 종료시까지 일으켜 세우지 않는 한 수위의 그래플링 능력을 발휘했고, 결국 4R 1분여를 남겨두고 상대의 백에서 훅을 건 원 암 초크를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연결시켰다. 

일 MMA 계 최고의 경기 운영 달인으로 꼽히는 요코타 카즈노리는 65개월만의 패배를 맛봤다. 마랏 가파로프의 단체 페더급 타이틀에 도전했던 요코타는 특유의 트리키한 펀치 공격으로 좋은 타격을 보여 준데다 , 1R 가파로프의 백에서의 맹공을 거의 무데미지로 침착하게 풀어내. 자신의 경기를 펴는 듯 보였으나. 2R 막판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에 니 킥을 허용, 등으로 올라탄 상대의 리어네이키드 초크 시도를 놓치는 실수를 범하고 말았다.   

허버트 번즈 전 패배로 주춤했던 기대주 티모페이 나스츄킨은 초살 KO로 승으로 랍 리스터를 제압, 명불허전의 타격감을 과시했다.  터프한 단체의 간판 에드워드 폴라양을 니 킥 한 방으로 끝낸 바 있는 나스츄킨은 전진하며 압박을 걸려던 리스타에게 스트레이트를 뻗었고, 이에 로우킥으로 카운터를 시도하려던 리스타의 턱을 반대편 훅으로 클린히트, , 즉시 사커킥으로 리스터를 전투불능으로 만들었다. 경기 시작 6초만의 일이었다.  

미얀마의 크얄 린 엉과 맞붙은 섀넌 위랏차이는 차분한 경기 운영으로 프로 두 번째 서브미션 승리를 챙겼다. 카운터 레프트 훅, 어퍼컷을 정면으로 맞고도 도발을 감행하며 무에타이 스탭으로 저벅저벅 걸어들어오는 상대를 태클로 그라운드에 끌고 들어간 위랏차이는 백을 잡힌 채 일어섰으나, 양 겨드랑이를 다시 파 크얄에게 탑 포지션을 재차 뺏어냈다. 탑에서 양손 파운딩에 등을 포기한 크얄에게 위랏차이가 타이트한 백초크로 탭을 받아냈다. 

WBA 복싱 세계 챔프언 요드사난 싯요통은 타격 TKO승을 거뒀다. 캄보디아의 격투술 쿤 크메르 베이스의 크혼 시추안을 상대로 프로 MMA 3번째 경기에 나선 요드사난은 탑 클래스 복서답게 크게 휘두르며 들어오는 상대의 안면에 정확한 카운터를 꼽았다. 무에타이 식 니 킥으로 클린치마저 가져간 요드사난은 데미지가 싸여있던 시추안을 로우킥-라이트 훅-레프트 어퍼컷 컴비네이션으로 다운, 추가 파운딩 두 방으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One Championship 43 'Kingdom of Champions' 결과]

09경기: 데담롱 소어 암누이시리초케 < 나이토 요시타카 (리어네이키드 초크 4R 4:00) * 스트로급 타이틀 전 

08경기: 마랏 가파로프 > 요코타 카즈노리 (암트라이앵글 초크 2R 4:25) * 페더급 타이틀 전

07경기: 랍 리스터 < 티모페이 나스츄킨 (KO 1R 0:06)

06경기: 레안드로 아타이데스 < 마친 프라치니오 (판정 1-2

05경기: 셰넌 위랏차이 > 키얄 린 엉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2:17)

04경기: 크리스천 리 > 록키 바톨바톨 (TKO 2R 2:40) * 구두 탭  

03경기: 요드사난 싯요통 > 크혼 시추안 (TKO 1R 3:44)

02경기: 퐁시리 미사팃 > 예 트웨이 네 (TKO 1R 2:24)

01경기: 크릿사다 콘시리차이 > 케브 헤모리어 (TKO 1R 1:58)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토종 2대 메이저 MMA 단체 TOP FC의 11번째이자 중국 메이저 믹스 룰 단체 쿤룬 파이트(Kunlun Fight)의 첫 공동개최 대회인 TOP FC 11 'TOP FC vs Kunlun Fight' 가 서울 올림픽 공원 내 올림픽 홀에서 개최되었다. 

[알프테킨 오즈킬리치와 펀치 공방을 펼치는 곽관호]

전 UFC 리거 알프테킨 오즈킬리치를 상대로 UFC 출전 가능성을 타진하는 일전에 나선 밴텀급 챔피언 겸 PXC 타이틀 홀더 곽관호는 특기인 킥 컴비네이션으로 판정승을 가져갔다. 현란한 스윗치 스탭의 다채로운 킥 중심 타격으로 우세를 이어가던 곽은 초중반 거칠게 밀고 들어오는 오즈킬리치의 타격에 클린 히트 당해 3라운드 하나를 내주었으나, 곧 로우와 바디, 이를 섞은 컴비네이션으로 곧 우세를 회복, 오즈킬리치의 막판 추격을 털어내며 끝까지 우위를 지킬 수 있었다.

[상위 포지션에서 탕진에게 파운딩을 퍼붓는 김지연]

DEEP JEWEL 타이틀 홀더 김지연은 TOP FC 이적 후 첫 경기에서 예상 외의 힘겨운 판정 승리를 거뒀다 1R 테이크 다운을 성공시키고도 오히려 상위에서 묶여 있었던 김지연은 스탠딩으로 전법을 바, 난타전 중 상대의 훅에 걸리거나, 상대의 연달은 프론트 킥에 밀리는 등 좀처럼 흐름을 잡지 못했다. 하지만 2R 막판 오버 언더 라이트 스트레이트로 다운, TKO 직전까지 몰고 갔던 김지연은 위축된 상대를 스트레이트, 카운터 테이크 다운으로 몰아 판정승리를 굳혔다.  

[박경수에게 암 바를 시도하는 사토 다케노리]

박경수는 라이트급으로 체급을 내린 웰터급 日 UFC 리거 사토 다케노리에 완패했다. 사토의 거친 태클을 무사히 뽑아내 백을 잡은 박경수였으나, 백을 잡힌 후 한 차례 뽑혔으나 금방 스탠딩을 회복한 사토에 키 락, 기무라 락 그립으로 회전해서 상위 포지션을 내주었고, 그립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던 사토가 상위에서 암 바를 시도했다. 암 바를 잡힌 채 위로 올라간 박경수가 몸을 틀어 탈출을 감행했으나, 이를 놓치지 않은 사토가 그대로 체중을 더해 탭을 받아냈다. 사토는 종료 후 직후 이벤트에서 타이틀 전을 피로했다. 

[장메이솬의 그립으로부터 회전해 탈출하는 김규성]

전주 퍼스트 짐의 경량급 에이스 김규성은 타격에서의 우위를 십분 활용, 2번의 방어전을 치른 쿤룬 파이트 챔프 장메이솬을 어렵지 않게 격파했다. 화려한 점핑 킥, 파워풀한 로우킥 등을 피로하는 상대의 예봉을 피해 카운터만을 찔러 넣으며 기회를 보던 김규성은 2R 플라잉 니 킥에 데미지를 입은 상대를 그라운드에 끌고 들어가 암 트라이앵글과 수차례의 파운딩으로 흐름을 완전히 바꿔버렸다. 3R 양 훅 클린 히트의 다운을 만들어낸 김규성은 결국 카운터와 로우킥으로 틈새를 찔러넣으며 판정승을 일궈냈다. 

[백마운트에서 아담 보시프를 백초크로 공략하는 강정민]

라이트급 타이틀 챌린저 강정민은 영국의 기대주 아담 보시프에게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내줘, 다음 번으로 내정되어 있던 日 단체 ZST의 타이틀 전이 불투명하게 되었다. 첫 라운드 반사 신경에서 밀리면서도, 상대의 백 초크를 빠져나와 타이트한 리어네이키드 드 초크를 시도하며 분발했던 강정민은, 2R 상대의 전진형 슬램을 당한 후, 그라운드 스크램블에서 백을 내주는 우를 범했고, 보시프에게 내준 타이트한 초크에 무너지고 말았다.   

[씨에준펑의 팔을 오모플라타 그립으로 잡아당기는 소재현]

김지연의 연인으로 주짓수 베이스의 그래플러인 소재현도 장기인 편안한 판정승을 챙겼다. 앞 선 두 라운드를 모두 하위 포지션에서 시작한 소재현이었으나, 첫 라운드에서는 힐 훅, 니 바 등 하체 관절기로, 두 번째 라운드에서는 조금 핀트가 어긋난 트라이앵글과 오모플라타로 포지션을 뒤집어냈고, 지켜냈다.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상대의 큰 훅에 물흐르듯이 성공시킨 카운터 테이크 다운으로 남은 라운드 시간 대부분을 상위 포지션에서의 공세로 보낼 수 있었다. 

[김재웅의 백을 잡고 더블 파운딩을 날리는 손성원]

팀 매드로 이적한 후 몰라보게 레슬링과 그래플링이 바뀐 손성원은  천안의 파워 펀처 김재웅을 심판전원일치 판정으로 제압했다. 긴 리치를 바탕으로 한 스트레이트와 미들 킥으로 일찌감치 스탠딩을 가져간 손성원은 김재웅의 러쉬 훅과 미들 킥에 잠시 밀렸으나, 상대의 테이크 다운 시도를 대부분 무산시켰을 뿐 아니라, 테이크 다운을 당해 하위를 빼앗겨도 포지션 스윕의 성공, 백 마운트 캐치 등으로 무난한 판전승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TOP FC 11 결과]


<메인>

07경기: 곽관호 > 알프테킨 오즈킬리치 (판정 3-0) * 밴텀급 타이틀 전 

06경기: 김지연 > 탕진 (판정 3-0) * 女 -59.5kg 계약     

05경기: 사토 다케노리 > 박경수 (암 바 1R 1:30) * -72.5kg 계약

04경기: 김규성 > 장메이솬 (판정 3-0) * -59kg 계약 

03경기: 강정민 < 아담 보시프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1:43) * - 72.5kg

02경기: 소재현 > 씨에준펑 (판정 3-0

01경기: 손성원 > 김재웅 (판정 2-1)  


<Under Card>

07경기: 김명구 > 하오 지아하오 (TKO 2R 4:58)

06경기: 김율 > 박건한 (TKO 2R 1:30)

05경기: 손도건 > 전형주 (KO 3R 3:09)   

04경기: 송규호 < 우하오티안 (판정 0-3)

03경기: 우에야마 토모아키 < 얀시보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3:11) * -54kg 계약  

02경기: 엘리스 아델린 < 장웰리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4:41) * -54kg 계약 

01경기: 이현수 < 테리젠레 (DQ 2R 2:30) * -100kg 계약 / 척추 팔꿈치 가격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Bellator MMA 155 의 공식 포스터 ⓒBellator Sports WorldWide LLC]

MMA 타이틀에 첫 도전한 맬빈 매누프는 스플릿 판정에 무릎을 꿇었다. 상대 겸 챔프 하파엘 카르바호의 경계 탓에 묵클린치에서 떨어질 때의 어퍼컷과 훅, 로우와 미들킥 등으로 거의 모든 라운드에서 우세를 차지했다. 그래플링에서도 테이크 다운을 당했을 시 적절한 탈출과 한 차례의 슬램과 탑 마운트까지 가져간 매누프였으나, 심판진들은 2-1로 수 차례 테이크다운을 가져갔을 뿐인 카르바호의 손을 들어주었다.

WSOF 동급 챔프 조지 카라칸얀과 맞붙은 2타임 페더급 타이틀 홀더 팻 커런은 무난한 경기로 판정승을 챙기고 2연승을 이어갔다. 에마뉴엘 산체스 전 승리 이후 10개월 만에 재 경기에 나선 커런은 첫 라운드 깊숙히 들어와 있는 상대의 로우킥에 카운터로 레프트 훅을 성공시키며 승기를 잡았고, 이후 그래플링에서의 압박 중심 전법으로 카라칸얀의 추적을 허용치 않았다. 카라칸얀이 막판까지 암 트라이앵글 등을 시도했으나, 격차를 뒤집기엔 역부족이었다,

전 UFC 리거 알렉시스 듀프레인은 서브미션 컴비네이션으로 거물사냥에 성공했다. 쥴리아 버드의 대타로 전 스트라이크 포스 챔피언 마를루스 쿠넨과 마주한 듀프레인은 테이크 다운 성공 후 포지션을 역전당해 하위 포지션에 놓이게 되었다. 허나 튼실한 바디 락과 손목 컨트롤로 기회를 엿보던 듀프레인은 상대에 트라이 앵글 그립을 잠그는데 성공했고, 파운딩에 견디다 못한 쿠넨이 팔을 빼내자 트라이앵글 그립을 잠근 채로 암 바로 연결, 승리를 가져갔다. 

제시 브룩스는 51전의 베테랑을 초크로 제압, 31개월 만의 단체 복귀 전 승리를 거뒀다. 최근 5연승 중이던 브룩스는 첫 라운드 초반 상대 올리 브래드스트리트에게 테이크 다운을 당해 잠시 묶여 있었던 것을 제외하면, 경기 내내 일방적인 테이크 다운 수 우세와 이에 힘입은 포지션과 리어네이키드와, 길로틴 등 각종 초크 시도로 상대를 괴롭혀 댔다. 결국 백에 있던 브룩스가 미끌어지듯 사이드로 이동하면서 잠근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경기를 종결지었다.  

그라운드에 묶여 첫 라운드를 내준 케이시 존슨은 상대의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이용, 서브미션 한판으로 깔끔한 역전 승리를 챙겼다.  브랜던 라피테리의 클린 라이트 잽을 턱에 허용, 상위 포지션을 빼앗긴 존슨은 좀처럼 상위를 허용하지 못해 1R을 내줬으나 2R 어깨를 파여 싱글 렉 테이크 다운을 포기한 라피테리가 클린치에서 등을 보이는 것을 놓치지 않고 스탠딩 리어네이키드 초크를 캐치, 무너뜨려 그라운드로 간 후 그립을 더해 탭을 받아냈다.

무패의 전적으로 벨라토어에 첫 도전하는 파이터들 간의 일전에서는 조 해밀턴이 초크로 타일러 프리랜드에 초살(秒殺) 승리를 챙겼다. 상대에 비해 리치의 우위를 가졌단 해밀턴은 상대의 로우킥에 카운터로 프론트 킥을 시도, 가슴을 걷어 차 쓰러뜨렸다. 한 바귀 뒤로 굴러 일어나려던 상대를 덥쳐 상박을 감아 쥔 해밀턴은 프리랜드가 자신의 그립 안에서 몸을 돌려 백을 내보이는 것을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부드럽게 연결, 인상적인 단체 데뷔 전 승리를 기록했다.

시종일관 몰리던 빈센트 모랄레스는 역전승리를 기록했다. 헤밀턴 애쉬의 타격과 그래플링에 모두 밀려 두 라운드를 모두 내주는 소극적 경기를 펼친 모라에스는 묵직한 라이트를 애쉬의 턱에 꽂아 단숨에 전황을 뒤집어 버렸다. 추격타로 라이트를 맞은 해밀턴이 절망적인 테이크 다운으로 상황을 모면해보려 노력했으나. 이를 뜯어낸 모랄레스가 파운딩으로 상대를 전투불능으로 만들어 버렸다.    

[Bellator MMA 155 'Carvalho vs 'Manhoef']

13경기: 베타 아르타가 > 재키 밴댄부르그  (판정 3-0)

12경기: 스캇 토매츠 > 조쉬 테일러 (판정 3-0

11경기: 하파엘 카르발호 > 멜빈 매누프  (판정 3-0) * 미들급 타이틀 전  

10경기: 팻 커런 > 조지 카라칸얀 (판정 3-0

09경기: 아우구스토 사카이 = 댄 찰스 (판정 1-1)  

08경기: 마를루스 쿠넨 < 알렉시스 듀프레인 (트라이앵글 초크 + 암 바 1R 4:33)

07경기: 체이스 고믈리 > 조이 벨트런 (판정 2-1

06경기: 윌 노라드 > 션 파워스 (KO 1R 3:29

05경기: 제시 브룩스 > 올리 브래드스틸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3:15)

04경기: 데이브 잰슨 < 마친 헬드 (판정 0-3

03경기: 케이시 존슨 > 브랜던 라피테리 (리어네이키드 초크 2R 1:16

02경기: 조 해밀턴 > 타일러 프리랜드 (리어네이키드 초크 1R 0:22)

01경기: 빈센트 모라에스 > 해밀턴 애쉬 (KO 3R 2:32


반응형
Posted by giIpoto
,
반응형

[UFC 198의 공식포스터  ⓒZuffa LLC]

'현역 소방관'이자 5주 후 결혼을 앞둔 예비 새신랑 스티페 미오치치가 단발 펀치 KO로 헤비급 타이틀 벨트의 새 주인이 되었다.  

K-1 타이틀 홀더 마크 헌트, 전 헤비급 타이틀 홀더 안드레이 알롭스키 등 강호들을 타격으로 연달아 잡으며 헤비급 대권 도전권을 손에 넣었던 미오치치는 한국시각으로 15일 브라질 쿠리티바에서 개최된 단체의 357번째 대회 겸 198번째 넘버링 이벤트인 UFC 198 'Werdum vs Miocic'에 출전, 챔피언인 파브리시우 베우둠과 타이틀 전에 나섰다.   

[파운딩으로 베우둠의 머리를 빻고 있는 미오치치를 말리기 위해 레프리 댄 머글리아타가 뛰어들고 있다]

초반 적극적인 베우둠의 킥 공격에 잠시 주춤했었던 미오치치는 곧 제 거리를 찾아 챔피언과 로우킥과 펀치를 주고 받으며 압박을 감행했다. 테이크 다운까지 여의치 않던 베우둠이 흐름 전환을 위해서인지 스트레이트에 한 차례 걸렸음에도 불구, 무리한 양 손 펀치 러쉬를 감행하자, 충분히 백 스탭을 밟고 있던 미오치치가 카운터 거리로 뛰어든 베우둠의 턱을 라이트 훅으로 히트시켰다.

미오치치의 라이트 카운터에 뇌가 크게 흔들린 베우둠은 즉시 실신하며 전투불능이 되어 앞으로 꼬구라졌고, 레프리 댄 머글리아타가 실신한 베우둠의 안면을 파운딩으로 빻고 있던 미오치치를 저지, 기절한 전 챔피언 베우둠을 구해냈다.  

[상위의 호나우두 소우자와 하위의 비토 베우포트가 케이지 사이드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

브라질 중량급 최강자 대결이자 미들급 2-3위 간의 대진이었던 비토 베우포트와 호나우두 '자카레' 소우자 간의 미들급 일전에서는 훅 페인트를 섞은 발목 테이크 다운 후, 엘보 파운딩으로 콧 등을 찢어놓은 소우자가 탑 마운트에서의 파운딩 샤워로 첫 라운드 TKO 낙승을 거뒀다. 닥터 스탑 후 베우포트가 셀프가드로 간 것을 놓치지 않고 파운딩으로 탑 마운트까지 간 자카레는 몸을 일으키려던 상대의 안면에 일방적인 파운딩을 퍼부어 타이틀을 코앞에 두게 되었다. 

[레프트로 레슬리 스미스의 안면을 분쇄하는 크리스 '사이보그' 쥬스티노]

女 격투기 여제 크리스 '사이보그' 쥬스티노 첫 라운드 TKO로 같은 날 벨라토어에서 참패한 전 남편 에반젤리스타 '사이보그' 산토스와는 다른 결과를 낳았다. 이전 스파링 경험이 있는 레슬리 스미스와 단체 첫 경기를 가진 사이보그는 평소와는 달리 차분히 카운터를 맞춰 나가며 상대를 압박, 기회를 보았다. 미들킥을 허용하고 발을 붙이고 맞받아 치기 시작한 스미스의 안면에 3연속 훅을 성공, 다운, 파운딩에 레프리 에두아르도 하디가 약간 빠른 듯하게 경기를 중지시켰다. 스미스가 빠른 스탑의 항의했다. 

[레프트 훅으로 코리 앤더슨을 다운시키는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

TUF 19 우승자 출신 기대주 코리 앤더슨과 격돌한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는 앞선 두 라운드의 막판 분전에 힘입어 쉽지 않은 경기에도 판정승으로 고향에서의 승리를 달성했다. 1R 상대의 펀치에 말리는 듯 했던 쇼군은 10여 초를 남기고 레프트 훅으로 다운, 파운딩으로 경기 종료 일보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상대의 테이크다운과 클린치 게임에 체력이 크게 떨어진 2R에서도 쇼군은 10초 킥 캐치 후 핀 포인트 파운딩으로 점수를 만들어, 상대의 테이크 다운과 그래플링에 완전하게 내준 3라운드의 열쇠를 상쇄했다. 

[클린치를 시도하는 윌리 알베즈를 팔목으로 밀어내는 브라이언 바바레나] 

미국의 젊은 기대주 세이지 노스컷을 참패시켰던 밴 핸더슨의 팀 메이트 브라이언 바바레나는 브라질의 무패의 기대주 윌리 알베즈마저 난전 끝에 판정승으로 격침시켰다. 초반 상대의 타이트한 길로틴을 뜯어내며 만만찮음을 과시한 바바레나는 알베즈의 맹공에도 숏 엘보와 펀치 카운터, 로우 킥 등으로 꾸준히 전전했다. 종료 1분 여를 남긴 시점에서 바바레나는 난타전에서도 알베즈의 두부를 연달아 히트해가며 후반 확실한 인상을 남겼고, 결국 저지 3인 모두로부터 우세를 얻어낼 수 있었다.  

[데미언 마이아를 등에 업은 채 시간을 체크하는 맷 브라운]

탑 클래스 주지떼로 데미언 마이아는 막판 초크로 11번째 서브미션 승리를 기록했다, 체급 강호 맷 브라운과 마주한 마이아는 잠시 브라운의 펀치에 가볍게 충격을 받기도 했으나 특유의 그래플링 능력으로 경기 시간 대부분을 테이크 다운으로 백을 빼앗은 후, 바디 락을 걸어 상대의 등에서 보낼 수 있었다. 경기 후반 가벼운 라이트 파운딩으로 브라운의 신경을 쏠리게 만들었던 마이아는 파운딩을 막으려 비어있던 브라운의 목에 미끄러지듯 팔목을 감아넣었고, 종료 29초를 남겨두고 탭을 받아냈다.  

[강력한 미들킥으로 네이트 매쿼트의 옆구리를 공격하는 티아구 산토스]

강호 클레런스 베이런 댈러웨이를 KO시키며 화려하게 부활했던 전 스트라이크 포스 챔피언 네이크 매쿼트는 3연승을 거두고 있는 TUF 브라질 시즌 2 출신의 기대주 타아구 산토스의 펀치에 다시 무너졌다. 상대의 강력한 미들킥에도 매서운 로우킥을 내며 반격을 노렸으나. 상대의 카운터 레프트에 걸려 다운을 허용했다. 산토스의 파상공세에 서둘러 매쿼트가 일어났지만, 바디 킥과 양 훅에 이은 레프트 스트레이트를 뒷 머리에 얹어 맞은 후, 무릎을 꿇어야 했다.  

[안토니우 호제리우 노게이라의 추격타에 일그러진 패트릭 커밍스의 안면]

안토니우 호제리우 노게이라는 3년 3개월 만의 승리를 맛봤다. 올 아메리칸 출신의 실력파 레슬러 패트릭 커밍스와 만난 노게이라는 가벼운 스트레이트 레프트 후 곧바로 이어진 라이트로 클린히트, 상대의 머리를 크게 흔들어 승기를 잡았다. 절망적인 테이크 다운 시도로 커밍스가 겨우 스탠딩에 성공했으나, 커밍스를 재차 케이지로 몰아붙인 호제리우가 몇 차례의 펀치 컴네이션에 이어 오른손으로 커밍스의 머리를 누르고 레프트 숏 블로우를 연사. 1R 종료 8초를 남겨두고 레프리 리온 로버츠의 스탑을 뽑아냈다.

[UFC 198 'Werdum vs Miocic' 결과] 

12경기: 파브리시우 베우둠 < 스티페 미오치치 (KO 1R 2:47) * 헤비급 타이틀 전 

11경기: 호나우두 '자카레' 소우자 > 비토 베우포트 (TKO 1R 4:38)

10경기: 크리스 '사이보그' 쥬스티노 > 레슬리 스미스 (TKO 1R 1:21

09경기: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 > 코리 앤더슨 (판정 1-2)

08경기: 월리 알베즈 < 브라이언 바바레나 (판정 0-3

07경기: 데미안 마미아 > 맷 브라운 (리어네이키드 초크 3R 4:29)

06경기: 네이트 매쿼트 < 티아구 산토스 (KO 1R 3:39) 

05경기: 얀시 메데이로스 < 프린시스쿠 트리니날두 (판정 0-3)

04경기: 존 리네커 > 랍 폰트 (판정 0-3

03경기: 패트릭 커밍스 < 안토니우 호제리우 노게이라 (TKO 1R 4:52)

02경기: 세르지오 모라에스 = 루안 차가스 (판정 1-1)  

01경기: 헤나투 '모히카나' 카네이로 > 주바이라 투흐코프 (판정 2-1 


* 사진=Getty Image / Zuffa LLC

반응형
Posted by giIpo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