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월27일 일요일 일본 도쿄 히카리가오카돔에서 개최된 아부다비컴배트클럽(ADCC) 아시아트라이얼 2011에 출전한 한국 선수 전두광(동천백산)과 임재석(익스트림파이팅피트니스)이 -88kg급에서 나란히 결승에 진출해 각각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현지에서는 한국 선수들끼리 결승전을 펼치는 모습과, 포지션에 의한 포인트 판정승이 대부분이었던 대회에서 빠른 한판승을 이어나간 전두광의 실력에 상당히 놀란 듯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난 12월 한국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한 전두광 (출처_ 전두광 블로그 blog.daum.net/leglockboy )



1회전을 부전승으로 넘긴 전두광은 특기인 하체관절기를 살려 2회전에서 앵클홀드로, 준결승에서는 힐홀드로 일본 선수들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에서 만난 임재석 역시 전두광의 힐홀드에 항복했다. 전두광은 출전자 중 유일하게 전경기를 한판승으로 장식한 선수가 됐다. 

임재석은 2차전과 준결승에서 쟁쟁한 일본선수들에게 2-0 판정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 약 4년여만의 선수 복귀임에도 불구하고 실력이 녹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이 밖에도 곽명식(일산 팀맥스), 이길우(팀파시), 최정범(파라에스트라 청주), 안승호(동천백산), 김영수(동천백산), 박현갑(존프랭클주짓수) 등이 출전했지만, 아쉽게 모두 1회전 탈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박현갑은 이날 오전에 열린 도복 부문 대회인 ADCC JAPAN 주지츠 오픈 토너먼트에 깜짝 출전해 전두광과 함께 결승에 진출, 은메달을 획득했다. 전두광은 도복 부문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해 2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결승전에서 임재석에게 아킬레스홀드로 탭을 받고 있는 전두광(사진제공_ 타카시마 마나부, 일본)



한편 이번 대회에는 유명 MMA 파이터 고미 타카노리가 -77kg급에 참전해 현지 관계자 및 언론의 관심을 모았다. 1차전에서 상대 선수의 이에 부딪히며 턱이 찢어지는 부상을 입은 고미는 계속되는 출혈에 닥터체크를 받으면서도 분투, 1차전 2-1, 2차전 7-0, 준결승 6-0의 점수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본전을 1-1 무승부로 마무리한 후 고미는 연장전에서 태클을 성공시켜 포인트를 따낸 후, 상대의 팔십자꺾기 반격을 잘 버텨내 1-0으로 승리, 체급 우승을 차지했다.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얼마 전 반가운 소식 하나가 전해져왔습니다. 존 프랭크 주짓수 네트워크 산하 관악BJJ와 방배BJJ의 이수용, 박진우 사범이 블랙벨트를 취득했다는 것인데요. 물론 이미 그 전에 박준영, 성희용, 이희성 등 한국인 블랙벨트가 탄생한 바 있고 최근 강성실 사범 역시 코브링야로부터 블랙벨트를 수여받는 등 그 동안 한국 BJJ의 발전과 노력의 결과로서 블랙벨트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습니다만, 이 두 사람의 승단이 특히 뜻깊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이들이 해외 무대나 선수 경력 등을 거치지 않고 순수한 국내 수련만으로 획득한 첫 블랙벨트이기 때문입니다. 8년 반이라는 긴 시간 동안의 수련을 거쳐 블랙벨트를 손에 넣은 심경은 어떨지, 두 주인공 중 한 명인 이수용 사범을 만나봤습니다. 


블랙벨트 승단 후 축하 받고 있는 이수용 사범 ( 사진출처_ 관악BJJ cafe.daum.net/gbjj )

축하한다. 지금 심정은 어떤가.
- 고맙다. 사실 기쁜 것보다도 부담이 더 크다. 블랙벨트에 어울리는 지도자가 될 수 있어야 할텐데, 그러려면 더 열심히 운동해야 할 것 같다. 그래서 마음이 무겁다. (웃음)

승단하게 된 날 분위기는 어땠나? 어떤 심사 기준이 있나?
- 특별히 따로 심사를 본다거나 한 것은 아니다. 평소대로 토요일 압구정 합동훈련에 참가했는데, 그 날 따라 존 사범님이 이상하게 빡세게 굴리시더라. (웃음) 왜 이러시나 했는데, 운동 끝나고 블랙벨트를 주겠다고 하시는 거다. 깜짝 놀랐다.

8년 반은 굉장히 긴 시간이다. 게다가 도중에 자기보다 브라질유술을 늦게 시작한 사람들이 해외 무대 등을 통해 먼저 블랙벨트를 취득하기도 했다.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자신이 뒤지고 있다거나 하는 불안감도 있었을 듯 한데?
- 그런 조급한 마음은 없었다. 앞서도 말했지만 사실 부담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더 늦게 받고 싶었다. 예전에도 한 번 존 사범님이 승단 얘기를 하신 적이 있었는데, 그 때도 좀 더 있다가 받고 싶다고 고사했었다.


이수용 사범과 함께 블랙벨트로 승단한 방배BJJ 박진우 사범

계속 부담스럽다는 얘기를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부담인가?
- 블랙벨트 다운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이다. BJJ는 스파링을 거부해서는 안 되는 운동이다. 때문에 언제나 실력으로 자기를 증명해야 한다. 물론 블랙벨트도 색띠에게 탭을 칠 수도 있다. 단순히 탭을 치느냐 안 치느냐의 문제라기보다 스파링 안에서 블랙벨트 다운 움직임을 보여줌으로써 상대가 몸으로 납득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이수용 사범은 몸무게도 70kg이 안되는 걸로 아는데, 중량급의 학생들이나 힘 좋은 외국인들을 상대하자면 더 부담이 될 듯 하다.
- 그 점에서는 오히려 BJJ가 타 격투 종목에 비하면 기술로 체급을 극복할 수 있는 여지가 크기 때문에 지도자가 신뢰를 얻기에 더 유리하지 않을까 싶다. 일단 당해보면 납득할 수 밖에 없으니까. 실제로 우리 도장에는 힘 좋고 무거운 제자들이 많다. 물론 상대가 무겁고 힘이 좋으면 힘든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그래서 그만큼 더 열심히 연습해야 한다. 

지도자로서 특별히 염두에 두고 있는 점이 있는가. 
- 제자들에게 평소 수련 때 항상 강조하는 것은 조급해하지 말고, 기술을 즐기면서 하라는 것이다. 그것이 다치지 않고, 오래 할 수 있는 비결이다. 당장 이기는 것에 치중하게 되면 무리하여 다치게 되고, 자신이 좋아하는 포지션이나 잘 쓰는 기술에 집착하게 된다. 이기는 경기만 하려고 하면 안 된다. 안되는 포지션에서 더 많이 연습해야 정말로 강해질 수 있다. 그래서 경기에 나가는 것도 일부러 권하지는 않는 편이다. 물론 본인이 원한다면 말리지도 않지만. 

현재 BJJ는 상당히 많은 계보가 형성되어 있고 국내에도 여러 계보의 도장들이 들어와있다. 일종의 '유파'라고도 볼 수 있겠는데, 유파마다의 특성이란 게 어느 정도나 존재하나? 예컨대 기술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점이 있을까?
- 일단 내 관점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에서 큰 차이는 없는 것 같다. 물론 디테일한 부분에서 사람이나 도장마다 각각의 특성이 묻어나는 경우나 간혹 독특한 경기용 기술들이 한두개 섞여있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대동소이하다.

순수 국내파 블랙벨트라는 점에서 남다른 자부심도 있을 것 같다.
- 존 사범님이 블랙벨트를 주시면서 그런 말씀을 하셨다. 당신 아래에서 드디어 한국인 블랙벨트가 나왔고, 또 몇 년 후면 우리 밑에서 블랙벨트를 받는 제자가 나올 것이고, 또 그 밑에서 블랙벨트가 나오고... 이런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가면서 한국BJJ의 역사가 만들어지고, 또 그 과정 속에서 우리들만의 스타일이 생성되면 그것이 바로 한국BJJ의 전통이 되는 것 아니겠냐고. 그런 점에서 의미가 있는 띠라고 생각한다.


6월 19일 블랙벨트 수여 현장을 담은 영상 (출처_ 관악BJJ)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격투기 매거진 '타타메'지는 본지 웹사이트를 통해 브라질 히우 데 자네이루 현지 시각으로 29일 오전 '브라질유술의 창시자' 엘리오 그레이시가 95세라는 나이로 사망했다는 속보를 전했습니다. 역시 엘리오 그레이시의 사망 소식을 전한 격투기웹진 '셔독'에 따르면 며칠 전 위장 문제로 지역 병원의 진단을 받았다고 합니다만, 고인은 수면 중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편안한 영면의 길을 가신 것으로 보입니다. 그의 친족에 따르면 "늘 그가 원하던 방식대로 빠르고 편안하게 돌아가셨다"고 하네요.

엘리오 그레이시 사망 소식을 전한 TATAME 웹사이트 캡처

엘리오 그레이시는 '콘데 코마' 마에다 미츠요로부터 가문에 전해졌던 일본 유술(강도관 유도를 바탕으로 한 마에다 미츠요의 개인적인 파이팅 스타일)을 체격이 작은 자신에게 걸맞는 기술체계로 변화 발전시켜 현대 브라질유술의 근간이 되는 '그레이시유술'을 탄생시킨 장본인입니다.

이후 그 자신도 수많은 대결 속에서 평생 단 2번의 패배만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그의 아들들 또한 지난 1990년대 그가 만들어낸 격투 스타일을 통해 수많은 활약상을 통해 '그레이시 불패 신화'를 만들어냈습니다. 특히 아들 호리온 그레이시와 함께 UFC라는 현대 격투사에 길이 남을 종합격투기 대회를 탄생시켰고, 또 다른 아들 호이스 그레이시가 그 대회에서 불패의 챔피언으로서 초기 4회 대회를 모두 휩씀으로써 격투계의 패러다임 자체를 '입식타격 또는 메치기 위주의 그래플링 → 그라운드 파이팅이 중시되는 종합격투'로 뒤바꿔놓기도 했지요. 이밖에도 전설적인 무패 기록을 자랑한다는 힉슨 그레이시를 위시해 수많은 자손들이 엘리오 그레이시가 탄생시킨 파이팅 스타일을 통해 그레이시의 이름을 떨쳤고, 이후 더 많은 이들이 그가 남긴 '브라질유술'이라는 거대한 유산을 몸에 익히고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1.상대가 버터플라이 가드로 시작하려고 한다.
2.이때 가장 중요한건 under hook 을 빼앗기지 않아야 한다.(제일 중요함!!)
3.겨드랑이를 파고 상대를 가슴으로 밀어 눕혀서 flat 하게 만든다.
4.두팔로 상대의 허벅지를 단단히 안아 고정시킨후 착지 하는 반대편으로 머리를 숙인다.
5.재빨리 공중에서 돌아 착지와 동시에 신속하게 side body 를 탄다.





미키 BJJ USA (American National BJJ Black Belt Champion MICKEY CHOI, TODD BAILY)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약 8년 간의 결혼 생활을 누렸던 세계적인 팝가수 마돈나와 영화감독 가이 리치가 정식으로 이혼 판결을 받았습니다. 약 한달 전 이들이 이혼 발표를 한 이후 이들의 행보는 줄곧 세계적인 가십 거리가 되어왔습니다. 특히 
한때 서로에게 행해졌던 무례한 언행들이 밝혀지고, 6억달러에 이르는 마돈나의 재산 분할 문제, 양육권 문제 등이 이슈가 되면서 이 이혼을 둘러싼 엄청난 법정 공방이 오갈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는데요. 다행스럽게도 서로 원만히 합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때문에 일부 매체들은 '너무 빠르다'며 오히려 김샜다는 듯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네요. ^^



 

이들은 지난 21일 런던 고등법원에서 정식으로 이혼 판결을 받았고 앞으로 6주 후면 완전한 남남이 됩니다. 하지만 가이 리치는 마돈나에게 어떤 재산분할도 요구하지 않았다고 하며,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로코와 입양한 막내아들 데이비드의 양육권에 대해서도 공동양육권을 갖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합니다. 또 마돈나 역시 이혼이라는 큰 사건을 겪으면서도 순회공연을 무사히 진행하는 등 일과 주변 사람들과의 친분을 잘 유지하면서 담담히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니 참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들이 이혼에 이른 주된 이유는 막내 데이비드 이후 또 한명의 입양을 놓고 둘 사이에 입장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밖에도 종교적 견해 차이, 성생활 문제, 그리고 마돈나의 지나친 운동집착증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마돈나가 '운동중독 아니냐'이라는 얘기를 들을 정도로 굉장한 운동 매니아라는 사실은 워낙 잘 알려진 내용입니다만, 사실 남편 가이 리치도 만만치 않은 브라질유술 매니아랍니다. 2005년도 마돈나의 라이브앨범 Im Going to Tell You A Secret에 수록된 DVD 영상에는 헨조 그레이시와 함께 브라질유술에 푹 빠져있는 가이 리치와 그가 자기 경호원들을 다 뺏아갔다면서 투덜거리는 마돈나의 모습이 실려있는데요. 투덜거리면서도 왠지 알콩달콩한 질투의 느낌이 묻어나는 걸 보면 이 때만 해도 아직 두 사람이 이혼을 생각할 정도로 사이가 나빴던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음은 예전에 다음넷 무예동 회원이신 희신광님이 올려주셨던
DVD 발췌 내용입니다.
(원문 주소는 http://cafe.daum.net/muye/B03/5546 입니다.)



"가이는 어떻게 해서인지 모르겠는데,
내 경호원들을 강탈해서 그 사람들을 자기 주지츠 파트너로 만들어버렸어."



"대개 켈리인데 그를 더 이상 보지 못하고 있어. 그는 가이와 함께 항상 매트에 누워있지.
남자들은 서로에게 싸움을 거는 것을 거부할 수 없나봐.
짧은 반바지를 입고 바닥에 누워서는 두 시간 정도를 서고 껴안고 있지.
둘이서 땀흘리면서 껴안고, 으르렁거리고, 그리고 서로의 얼굴 위에 앉아있어.
내 남편은 나보다 주지츠 동료들과 더 친밀한 거 같아.
가끔 찾아가서 난 이렇게 말하곤 해."




 

특히 마지막 멘트가 압권인데요. ^^ 아마 종목을 불문하고 운동하시는 분들, 특히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 운동 모임을 나가시는 분들이라면 여자친구에게 비슷한 질투 내지는 잔소리를 들어보셨던 경험이 있으실 듯 합니다. 운동에 빠진 연인에 대한 질투는 동서고금을 불문하는 게지요. ^^ (특히 격투기 계통은 마돈나의 멘트에서 알 수 있듯 개중에서도 이해받기 어려운 종목이죠. T-T) 그래도 마돈나가 이 정도 투덜거림으로로 넘어갔던 건 역시 본인도 운동매니아였기 때문이 아닐까 싶고요. 그래서 제 주변에 많은 분들이 운동하는 여자친구를 원하거나, 본인 제자와 결혼하거나 하는 건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 (이번 글 제목은 사실 낚시성이 다분한데, 쓰다보니 설마 진짜로 브라질유술 때문에 두 사람 사이가 틀어진 건 아니겠지? 싶기도... ^^;;)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반응형

벌써 좀 된 얘기입니다만, 예전에 PD수첩이란 프로그램에서 청소년들이 길거리나 놀이터에 모여서 격투를 벌이는 쌈모클럽이라는 것을 주제로 청소년 폭력 문화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습니다. 꽤 화제가 되었으니 아마 기억하시는 분들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당시 그 방송을 봤었는데요, 뭐 그 방송에 대한 얘기는 아니고 거기 나오는 한 대구 지역 청소년의 인터뷰에서 '아스팔트'라는 단어를 듣고 황당했던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 인터뷰에서 말하는 아스팔트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아스팔트, 즉 도로포장재를 말하는 게 아니라 격투기술의 하나인 다리걸기를 말하는 건데요. 당시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다른 지방에서 말하는 '아싸바리'를 대구에서는 '아스팔트'라고 한다. 지방마다 기술을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라고 하더군요. ^^

아마 운동 좀 해보신 분들이라면 도장마다 '아시바리' 또는 그 비슷비슷하게 부르는 기술이라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자, 그럼 이 '아스팔트'의 정확한 어원(?)은 '아싸바리'일까요, '아시바리'일까요?

유도의 아시바라이 = 발목받치기 (사진출처_ www.judoforum.com)

 
정확한 말은 바로 '아시바라이(足払い)', 우리식으로 말하면 '다리후리기' 정도로 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기술로 칭할 때는 유도의 '발목받치기'나 '나오는발차기', '모두걸이' 류의 기술을 칭합니다만, 가라테 등 다른 무술까지 포함해 '아시바라이'라고 할 때는 보통 다리를 후려차 넘어뜨리는 기술을 통틀어 일컫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에서도 이런 식의 기술을 칭하는 경우가 많고요.

그런데, 사실 국내에서는 앞서 말했다시피 '아시바라이'라는 정확한 명칭보다는 흔히 '아싸바리', '와사바리' '아시바리' 등으로 말하곤 하는데... 정확한 명칭을 모른 상태에서 구전되면서 흐르고 흘러온 결과, 대충 '아시바라이' = '아시바리' 까지는 이해가 되고, '아싸바리', '와사바리'에서부터 조금씩 황당해지기 시작해서... (아마 '아싸바리'는 발음을 강하게 하다가, 그리고 '와사바리'는 어딘가 일본어 느낌이 나니 뭔가 익숙한 단어인 '와사비' ^^;; 와 연결시킨 듯) 결국 '아스팔트'라는 엉뚱한 이름에까지 이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현극진회관 관장 마츠이 쇼케이(한국명 문장규)의 30인 연속대련 당시 모습,
여기서 자주 나오는 다리를 차서 넘어트리는 기술이 흔히 말하는 '아시바라이'입니다.
마츠이 관장은 현역 시절 아시바라이를 아주 잘 썼는데 이 당시에 특히나 아주 물이 올랐던 것 같습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중국무술식의 밭다리걸어넘기기인 '떵타'라는 게 있지요. 원래는 '등탑(登탑, 탑자는 무너질 '탑'자인데, 윈도에 한자가 없네요. ^^)'이라고 칭하는 게 맞다고 합니다만, (기술 형태를 생각해보면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 대충 이해가 갑니다.) 과거 중국무술 교습과정에서 한자어의 발음이 그대로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흔히 '등답', '등타', '등타장', '등다' 등으로 변해서 불리고 있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요즘 브라질유술을 일컫는 '주짓수'라는 말도 사실은 그렇습니다. '유술'의 일본어식 발음, '柔術(じゅうじゅつ、쥬우쥬츠)'가 서양에 전해지면서 편의상 '주주츠', '주지츠' 등으로 줄여서 발음되고 영문 표기로 'JIUJITSU'라고 쓰인 것을 'JIU-JI-TSU(주-지-추)'로 끊어 발음하는 것 아니라 서양인들에게 익숙한 방식대로 'JIU-JIT-SU(주-짓-수)'로 끊어 읽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만, 그것이 다시 거꾸로 들어오면서 우리나라에서는 마치 '주짓수'가 정확한 호칭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죠. 뭐, 이제 국내에서는 거의 고유명사화되어버렸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주짓수'라는 발음 표기는 참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라서 저 혼자서라도 '주지츠' 또는 그냥 '브라질유술'이라고 쓰는 편입니다. (원래 발음이 뻔히 있는데도 서양에서 다시 들어왔다고 그런 식으로 읽어야 한다면 ISKA 가라테 같은 것도 그 쪽 발음 따라 '커라리'라고 불러야 하지 않겠습니까? ㅋ  뭐, 웃자고 하는 얘깁니다만... -_-)a


뭐, 사실 이런 발음의 변형은 흔하디 흔하게 벌어지는 경우이고 그게 자연스런 문화적 전파 과정으로 볼 수도 있으니 잘못되었다라고 하기도 애매한 부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무언가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자신이 배우는 대상이 어떤 연유로 비롯된 것인지 알아두는 것이 그 대상을 이해하고 공부를 깊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기왕이면 적절한 우리말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그냥 문득 생각난 김에 평소 생각하던 바도 있고 해서 이것저것 주절여봤습니다. ^^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